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ARTICL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3, No. 2, pp.132-137
ISSN: 1225-9306 (Print) 2288-018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5
Received 22 Jan 2015 Revised 3 Feb 2015 Reviewed 3 Mar 2015 Reviewed 18 Mar 2015 Reviewed 2 Apr 2015 Reviewed 9 Apr 2015 Accepted 13 Apr 2015
DOI: https://doi.org/10.7783/KJMCS.2015.23.2.132

중국과 일본 들깨 수집 자원의 생육 특성 및 페놀 성분 분석

성은수* ; 서은원** ; 정일민*** ; 김명조** ; 김희영** ; 유지혜** ; 최재후** ; 김남준** ; 유창연**,
*강원대학교 한방바이오연구소
**강원대학교 바이오컨버젼스공학과
***건국대학교 응용생물과학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enol Compounds Analysis of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Resources From China and Japan
Eun Soo Seong* ; Eun Won Seo** ; Ill Min Chung*** ; Myong Jo Kim** ; Hee Young Kim** ; Ji Hye Yoo** ; Jae Hoo Choi** ; Nam Jun Kim** ; Chang Yeon Yu**,
*Oriental Bio-herb Research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Science and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Department of Applied Bioscience,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3-250-6411 cyyu@kangwon.ac.kr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variation in agronomic trait and chemical composition in the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from China and Japan. From the results of growth investigation, the maximum number if branches was 26.7ea in Japan 134 line, followed by 25 nodes number in China 119 line. Among the different lines investigated, maximum number of panicle number (108.8) were observed in China 114 line. 1000 seed weight was maximum (4.12 g) in China 118 line. Flowering time of different collected lines varied significantly with average value of 175.5 days and the average line required for maturation of seedlings was 205.1 days. Plant height was the highest (248.9 cm) in China 107 line. Highest number of total picking leaves was 965ea, and the average picked period was 54 days. The major phenol compounds contained in Perilla frutescens showed wide variation for Syringic acid, Benzoic acid, Naringin, o-Coumaric acid, Myricetin, Naringenin and Hesperetin. Japan 139 lin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phenol contents (8254.0 μg/g, dry weight).

Keywords:

Perilla frutescens, Agronomic Trait, Phenolic Compounds

서 언

들깨 (Perilla frutescens)는 일년생 초본으로 자가수정 하며, 옛날부터 유료작물로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재배되어 왔다. 들깨는 파종기의 이동 범위가 넓어 다른 작물과 윤작이나 혼 작이 가능하고, 토양적응성이 높은 중요 작물중 하나이다 (Choung, 2005). 들깨는 재배역사가 길지만 체계적인 연구기 간이 짧아서 육성품종의 수가 너무 적고, 수량도 낮기 때문에 환금작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 (Nam et al., 2004). 우 리나라에서 들깨는 잎과 종자를 모두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어 서 채엽 목적의 농가는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 다 (Han et al., 1997). 들깨 육종에 관한 연구에서 잎들깨와 종실용 들깨 평균개화기 차이는 잎들깨가 약 23일 정도 늦게 나타났고, 경장 및 마디수도 수치상 낮게 나타났다 (Choung, 2005). 들깨 품종중 ‘충주’종의 경우 파종기과 육묘일수에 관 계없이 9월초쯤 모두 개화하는 단일성 작물임을 확인하였고, 종실수량도 5월 중순에 파종하여 6월 하순에 이식했을 때 최 고의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Chung, 2008).

들깨 잎에는 안토시아닌, 아미노산, 비타민, 양질의 지질 및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들깨 종실로부터 추출한 들 기름은 건성유가 40-50% 차지하고 있어서 식용 및 공업용으 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Han et al., 1997; Oh et al., 1995). 들깨유의 지방산 조성은 오메가 3계가 50-60%,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렌산 (linolenic acid)으로서 식품 영양학적 가치 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et al., 2000). 볶은 들깨의 추출물을 분석해보면 토코페롤 같은 항산화 성분, 스테롤, monoterpene류의 특수성분에 의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 고 있다 (Lim et al., 1994). 또한 들깨잎의 특유한 향기는 생선 및 육류 비린내를 제거하여 우리나라에서 쌈용 채소로 생식하는 소비 경향도 증가되고 있다 (Han et al., 1997). 한 방에서는 옻의 해독 작용, 강장, 소화, 음종 등에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Lim et al., 1994).

본 연구는 중국, 일본에서 수집한 들깨를 대상으로 육종을 통한 생육 특성의 차이를 가지수, 마디수, 꽃수, 꼬투리수, 천 립중, 새화기, 성숙기, 식물체 크기, 잎의 길이와 폭, 수확한 잎 수 등을 조사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공시재료의 항산 화 관련 페놀 성분 28가지 분석을 통해 중국, 일본 들깨 수집 종간 차이를 데이터화하여 용도별 들깨 품종 육성의 기초자료 로 이용하고자 연구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본 연구의 식물재료로는 중국 수집종 10종과 일본 수집종 7종을 대상으로 하여 농업 형질 특성 및 기능성 물질 분석을 통한 계통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온실에서 키운 이들 공시 재료를 5월 중순경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에 이식하였다. 재배 방법에 있어서는 재식거리 휴폭 60cm ×주간 40cm로 이식하 였고, 비료는 10a당 질소 5kg, 인산 4kg, 칼륨 4kg을 전량 기비로 이용하였다. 적엽은 파종 후 1-3엽은 제거하고 4본엽 부터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2. 농업적 형질 특성 조사

중국, 일본 수집종의 농업 형질 관련 생육조사는 농림축산 식품부 국립종자원의 특성조사요령 (특용작물-들깨; 경장, 마 디수, 주당 분지수, 화방군수, 화방군장, 개화일수 및 잎과 종 자 특성)에 따라 수행하였다 (KSVS, 2000). 천립중은 건조 후 완전립을 무작위로 조사하였고, 생육특성 조사는 파종알에 서 성숙일까지 일수로 생육이 비교적 균일하고 중간정도 개체 를 조사하는데 이용하였다. 들깨 잎의 수확은 완전히 전개된 잎을 채취하여 엽장, 엽폭, 장폭비, 채엽기간, 채엽횟수, 채엽 량 등의 채엽 관련 수량 형질을 조사하였다.

3. 페놀화합물 분석

동결건조한 들깻잎의 수분을 제거한뒤 분쇄하여 분석시료 로 이용하였다 (Kim et al., 2008). 시료 2 g에 10ml 99.9% acetonitrile (HPLC grade)과 0.1N HCl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추출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0.45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한 샘플을 HPLC 분석에 이용하였다. HPLC 분석은 Shimadzu HPLC system (SPD-M10A Diode Array Detector, Kyoto, Japan) 기기와 YMC-Pack ODS AM-303 (4.6 × 250mm I.D., YMC Co., Kyoto, Japan)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Chung, 2004). 증류수와 0.1% acetic acid를 포함하는 3차 증류수를 혼합한 solvent A와 acetonitrile과 0.1% acetic acid 를 포함하는 3차 증류수를 혼합한 solvent B를 gradient program으로 하여 UV 흡광도 280nm에서 이동상을 측정하 였다. Flow rate의 양은 1 ml/min으로 하여 분석에 이용하 였다. 페놀화합물 분석은 gallic acid를 포함하여 총 28가지 물질로 검량선 작성 후 분석하였다 (Fig. 1).

4.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평균 ±표 준편차 (Mean ± S.D.)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를 이용하여 실험구간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p < 0.05).


결과 및 고찰

1. 중국, 일본 수집종 들깨의 작물학적 생육특성

중국 수집종 10계통과 일본 수집종 7계통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조사한 결과는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중국과 일본 수 집종 전체에서 주당 분지수가 가장 많은 것은 일본 134계통 으로서 26.7개로 나타났다. 15개 이하의 주당분지수를 갖는 계 통은 중국 108계통과 일본 138계통으로 조사되었다. 마디수가 가장 많은 것은 중국 119계통으로 25개의 마디수를 갖는 것 으로 나타났고, 일본 138계통의 경우는 마디수가 11.7개로서 저조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화방군수에 있어서는 중국 114계 통이 180.8로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일본과 중국 수 집종 전체 화방군수는 89.5의 화방군수를 나타내었다. 화방군 당 삭수에 있어서는 중국과 일본 수집종 전체적으로 큰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평균적으로 41.9개의 화방군당삭수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방군의 길이는 중국 118계통이 11.2cm로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4cm 이하의 길이를 보 이는 것도 중국 100과 중국 113 계통 2 가지인 것으로 나타 났다. 천립중을 조사한 결과 중국 118계통이 4.12 g의 가장 무 거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과 일본 수집종 전체의 파종기 부터 개화기까지는 평균적으로 175.5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성숙하기까지는 평균 205.1일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Table 1). 한국 들깨 수집종 85점을 가지고 생육 특 성을 조사한 결과, 천립중은 평균 2.7 g이었고, 경남 함양종이 3.9 g으로 가장 무거웠고, 강원 평창종은 1.7 g으로 극소립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Nam et al., 2004). 중국 수집종 118계통에 서 천립중이 가장 무거운 것이 4.12 g을 보여주므로서 국내종 에 비해 천립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육성된 잎들깨와 종실들깨 대상 주요특성 분석을 한 결과, 잎들깨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 평균 개화기 9월 5일 보다 23일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우리 결과처럼 파 종기부터 계산된 개화기까지의 기간이 아니므로 정확한 비교 는 할 수 없다 (Choung, 2005).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중국, 일본 수집종 들깨의 생육 조사 항목중 간장을 조사한 결과, 중국 107계통이 248.9cm로 가장 우량한 계통임을 나타 내었다. 전체적으로 간장에 있어서는 일본수집종 보다는 중국 수집종이 훨씬 우량한 계통이 많았으며, 전체 수집종의 평균 간장은 205.1c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장에 있어서는 중국 108계통이 17.73cm를 보여서 가장 긴 잎을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고, 전체 수집종 중 15cm이상의 잎 길이를 갖는 계통은 9계통으로 확인되었다. 엽폭도 역시 엽장과 마찬가지로 중국 108계통에서 가장 우량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집종 전체의 장 폭비 평균은 1.4c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 강원지역 들깨 42점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경장은 80-140cm 정도로 수집종간 차이가 많았고, 131cm 이상되는 들깨 수집종은 전 체에서 16.7%로 나타났다 (Nam et al., 2004). 이는 중국과 일본 들깨 수집종의 본 연구 결과에서 205.1cm를 나타낸 것 으로 보아 강원지역 들깨 수집종에 비해 상당히 큰 것으로 나 타났다. 우리나라 들깨 수집종 85점을 육성한 결과에서 경장 은 평균 113cm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들깨는 수 집 지역별 일장에 대한 민감성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m et al., 2004). 따라서 우리 보고에서의 들깨 경장의 차 이는 수집 지역마다 일장이 다른 기후와 수집 품종의 차이 때 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Growth characteristics on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ratio of length/width in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Growth characteristics on number of leaf picked, picking days, number of picking, picking internal, yield per plant in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들깨 수집종의 채엽 관련 특성조사에서는 채엽수, 채엽기간, 채엽 횟수, 채엽 기간, 식물체당 채엽량을 조사하였다. 총 채 엽수는 일본 134계통이 965개로 가장 많은 채엽을 하였고, 수 집종 전체 총 채엽기간은 평균 54일로 나타났다. 개체당 채엽 수는 중국 113계통이 12개로 가장 많았고, 중국 107계통과 일 본 141계통은 개화기가 다소 늦어서 다른 계통보다 채엽기간 이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113계통의 경우는 채엽 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 채엽 횟수에 있어서는 중 국 113계통과 중국 109계통이 12회와 10회로 가장 많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Kim 등 (2002)은 종실 수량 들깨의 채엽에 따른 개화 성숙기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종이 늦어짐에 따 라 채엽수량이 감소하거나 조파할수록 많아지는 결과가 보고 되었다 (Kim et al., 2002). 본 연구에서는 채엽횟수와 종실 수량과의 관계에 있어서 채엽횟수가 수량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페놀화합물 분석 이용 총페놀 고함량 들깨 선발

중국, 일본 수집종 들깨의 페놀화합물 함량을 HPLC를 통해 28가지 페놀물질을 기본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들깨에 많이 함 유되어 있는 페놀 물질은 2.95% Syringic acid, 8.83% Benzoic acid, 4.99% Naringin, 7.07% o-Coumaric acid, 25.57% Myricetin, 4.28% Naringenin, 7.10% Hesperetin인 것 으로 나타난 반면, catechin, p-coumaric acid, m-coumaric acid는 극소량만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8가지 페놀물질 총 함량의 경우, 일본 139계통이 8245.0μg/g 으로서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을 지닌 계통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집종 중에서 는 중국 100계통이 2847μg/g 으로서 중국 수집종 가운데 가 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본 수집종 가운데 2000μg/g 이상 총페놀 함량을 나타내는 수집종이 일본 133, 134, 136 으로 3계통인 것으로 보여졌다 (Table 4).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in 17 accessions of perilla using HPLC analysis.

각 페놀 물질의 수집종간 비교 분석한 결과, Gentisic acid 는 중국 107계통이 204.3μg/g을 나타내어서 가장 많은 함량 을 보여주었고, 중국 108, 일본 141의 2계통이외 수집종에서 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집종 들깨에 많은 함량을 가진 페놀 물질 Syringic acid는 14계통에서 137.8μg/g-358.3μg/g이 검 출되므로서 대부분 들깨에 존재하는 물질인 것으로 조사되었 고, 중국 100, 102, 104, 107의 4계통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p-Coumaric acid의 경우 중국 109계통, 일본 139 계통을 제 외한 들깨 수집종에서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m- Coumaric acid의 경우도 p-Coumaric acid와 마찬가지로 중국 114계통에서만 1.8μg/g 정도로 아주 극소량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들깨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 여졌다. Benzoic acid는 대부분 들깨 수집종에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100계통은 603.9μg/g로서 가장 높은 benzoic acid양을 나타내었고 대부 분 수집종이 100μg/g이상 검출된 반면 중국 114계통만 소량 인 것으로 나타났다. Naringin은 일본 139계통에서 441.9μg/g 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100μg/g 이상 함유하는 들깨는 5계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o-Coumaric acid의 경우 많은 들깨 수집종에서 검출되지 않았지만, 중국 100, 일본 133, 일본 134 계통에서는 600μg/g 이상 큰 함량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 났다. Myricetin은 대부분 들깨 수집종에서 많은 양을 함유하 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일본 139 계통의 경우 5973.0μg/g 으로 엄청난 함량이 검출되었다. Naringenin은 7계통이 100μg/g-260μg/g 정도의 함량이 검출되었고, Hesperetin은 중 국 104, 107, 119의 3가지 계통만 30μg/g 이하의 소량 함유 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한국 들깨종 15가지의 항산화 활성 및 페놀 화합물 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가지 페놀 화합물인 caffeic acid-3-O-glucoside, caffeic acid, luteolin-7-O-glucoside, apigenin-7-O-glucoside, rosmarinic acid-3-O-glucoside, rosmarinic acid, luteolin, apigenin, chrysoeriol이 검출된 것으로 보고하였다 (Lee et al., 2013). 이는 본 연구에서 실험한 중국, 일본 수집종 결과 와는 다른 종류의 페놀 화합물이 한국종 들깨에 상당량 함유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보고이다. 또다른 한국종 들깨 보고에 서는 5가지 종류의 페놀 화합물인 caffeic acid-3-O-glucoside, rosmarinic acid-3-O-glucoside, rosmarinic acid, luteolin, apigenin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a et al., 2012). 페놀 성분과는 예외적으로 30가지 들깨 수집종에서 정유성분이 75%를 넘지 않았고 다양한 성분 조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 어 향기 성분 증가 들깨 품종 육성의 기본정보를 보고한 논문 도 발표되었다 (Kim et al., 2008). 또한 정유성분 합성대사에 관련된 유전자의 클로닝을 통해 식물병 방어 관련 유전자의 발현 기능 분석을 하여 들깨 기능성 유전자의 이용성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었다 (Seong et al., 2009). 본 연구의 결과로부 터 들깨 수집종의 페놀 화합물 기능별 분류를 데이터화 하 고, 앞으로 기능성 대사 클러스터링과 분자적 접근을 통한 들깨 품종 육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교육부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No: 2014H1C1A1067085)과 부분적으로 강원대학교 한방바이 오연구소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결과로 이에 감사 드립니다.

REFERENCES

  • Choung, MG, Comparison of major characteristics between seed perilla and vegetable Perill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5), 50, p171-174.
  • Chung, CS,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wing season and seedling duration of perila(Perila frutesces BRITTON var. japonica HAR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08), 21, p19-22.
  • Han, SI, Gwag, JG, Oh, KW, Pae, SB, Kim, JT, Kwack, YH, Flowering and maturing response to seedling date and short day treatment in vegetable perill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7), 42, p466-472.
  • Ha, TH, Lee, JH, Lee, MH, Lee, BW, Kwon, HS, Park, CH, Shim, KB, Kim, HT, Baek, IY, Jang, D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eeds of Perilla frutescens (L.) an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glucosidase and aldose reductase, Food Chemistry, (2012), 135, p1397-1403.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2.05.104]
  • Kim, IJ, Kim, MJ, Nam, SY, Lee, CH, Effects od date and number of defoliation by different seedl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Perilla ocymoids cv. Saeyupsildlkka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02), 15, p14-149.
  • Kim, SJ, Kang, EY, Won, SE, Gwak, TS, Kim, JW, Kim, EH, Seo, SH, Song, HK, Ahn, JK, Yu, CY, Chung, IM, Chemical composition and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ntents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HARA leav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8), 16, p242-254.
  • KOREA SEED & VARIETY SERVICE(KSVS), http://www.seed.go.kr, (2000).
  • Lee, JH, Park, KH, Lee, MH, Kim, HT, Seo, WD, Kim, JY, Baek, IY, Jang, DS, Ha, TH, Identification, characteris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antioxidant activity-containing fraction from the seeds of Korean perilla(Perilla frutescens) cultivars, Food Chemistry, (2013), 136, p843-852.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2.08.057]
  • Lim, SU, Seo, YH, Lee, YG, Baek, NI,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1994), 37, p115-123.
  • Nam, SY, Hong, ST, KImI, J, Kim, MJ, Lee, CH, Kim, TS, Growth and yield component of Korean perilla collection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4), 49, p222-226.
  • Oh, MK, Yu, SJ, Kim, JT, Oh, YS, Cheong, YK, Jang, YS, Park, IJ, Park, KY, Flowering response to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in perill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5), 40, p543-547.
  • Park, WK, Park, BH, Park, YH, Encyclopedia of food and food science, (2000), Shin Kwang Publishibg Co, Seoul, Korea, -234.
  • Seong, ES, Seo, EW, Kim, HS, Heo, Kweon, Lee, JK, Chung, IM, Ghimire, BK, Kim, MJ, Lim, JD, Yu, CY,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Perilla frutescens limonene gene(PFLS) by agroinfiltration into Nicotiana benthamian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9), 17, p33-38.

Table 1.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Accession Number No. of branches No. of nodes No. of panicle No. of pods per panicle Panicle length (㎝) 1,000 seed weight (g)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ays from sowing to maturity

Values within columns having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level as determined by DMRT.
China 100 16.0dc 20.0b 028.0e 38.7ab 03.7e 1.97fgh 189.0bcd 221.3b*
China 102 18.7abcd 21.0ab 68.0cde 42.7ab 4.6cde 2.13fg 173.0ef 207.0cde
China 104 16.0cd 21.3a 56.3cde 34.7ab 5.8bcde 2.09fgh 203.3a 241.3a
China 107 23.7abc 22.0ab 122.0abc 40.0ab 6.8bcde 1.74hi 199.0ab 235.0a
China 108 11.3d 20.7ab 065.0cde 32.7b 5.5bcde 2.25defg 172.0ef 207.0cde
China 109 23.0abc 20.7ab 043.7de 40.0ab 3.9de 2.22efg 179.3de 208.0cd
China 114 21.7abc 21.7ab 180.7a 40.0ab 09.0ab 2.63cd 188.0bcd 200.7def
China 118 19.0abcd 18.7b 059.0cde 50.7ab 11.2a 4.12a 179.0de 191.0fg
China 119 20.0abcd 25.0a 157.7ab 44.0ab 7.4abcde 1.37i 179.0de 190.0fg
Japan 133 22.3abc 18.3b 100.0bcde 44.0ab 6.8bcde 2.33def 163.0f 196.0ef
Japan 134 26.7a 21.0ab 58.0cde 38.7ab 6.9bcde 2.77c 182.0cde 216.3bc
Japan 136 22.0abc 19.7b 104.7bcd 48.0ab 8.3abc 2.61cd 161.3f 200.3def
Japan 137 24.0abc 21.0ab 91.0bcde 45.3ab 5.8bcde 2.58cde 177.0de 209.3cd
Japan 138 11.7d 11.7c 91.0bcde 43.3ab 6.7bcde 2.20efg 105.0g 136.7h
Japan 139 25.ab 21.7ab 146.0ab 44.0ab 7.5abcd 1.91gh 168.7ef 184.0g
Japan 141 16.7bcd 18.0b 42.3de 33.3b 6.1bcde 3.66b 193.0abc 208.7cd

Mean 19.9 20.2 89.5 41.9 6.6 2.4 175.5 205.1

Table 2.

Growth characteristics on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ratio of length/width in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Accession Number Plant height (㎝) Leaf Length (㎝) Leaf Width (㎝) Ratio of Length/Width

Values within columns having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level as determined by DMRT.
China 100 194.9de 15.47abc 11.57ab 1.34abc*
China 102 237.6ab 14.37abc 9.07b 1.61a
China 104 222.7abcd 15.40abc 10.87ab 1.42abc
China 107 248.9a 14.10abc 10.10ab 1.40abc
China 108 226.8abcd 17.73a 13.33a 1.34abc
China 109 232.1abc 15.20abc 11.00ab 1.39abc
China 113 222.8abcd 17.23ab 11.77ab 1.46abc
China 114 241.3ab 15.30abc 11.00ab 1.40abc
China 118 194.0de 13.47bc 8.60b 1.57ab
China 119 204.6bcde 15.73abc 9.83ab 1.61a
Japan 133 199.7cde 12.90c 9.77b 1.32abc
Japan 134 170.7ef 12.87c 10.33ab 1.25c
Japan 136 221.3abcd 13.73abc 9.90ab 1.40abc
Japan 137 210.7bcd 12.97c 0 9.00b 1.44abc
Japan 138 110.3g 15.37abc 10.93ab 1.40abc
Japan 139 205.0bcde 13.93abc 10.07ab 1.39abc
Japan 141 142.7fg 15.27abc 11.97ab 1.28ab

Mean 205.1 14.8 10.5 1.4

Table 3.

Growth characteristics on number of leaf picked, picking days, number of picking, picking internal, yield per plant in collected Perilla frutescens.

Accession Number Total No. of leaf picked Total picking days No. of picking Picking interval(day) Yield per Plant(ea)

Values within columns having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level as determined by DMRT.
China 100 169o 51e 6f 8.50g 12.0f*
China 102 310l 58c 6f 9.67d 12.0f
China 104 760c 58c 8d 7.25l 16.0d
China 107 760c 64b 8d 8.00i 16.0d
China 108 498h 68a 9c 7.56j 18.0c
China 109 498h 68a 10b 6.80n 20.0b
China 113 319k 64b 12a 5.33o 24.0a
China 114 668d 56d 8d 7.00m 16.0d
China 118 296m 44g 5g 8.80f 10.0g
China 119 766b 51e 7e 7.29k 14.0e
Japan 133 483i 50f 6f 8.33h 12.0f
Japan 134 965a 50f 5g 10.00c 10.0g
Japan 136 645e 44g 5g 8.80f 10.0g
Japan 137 582g 58c 5g 11.60a 10.0g
Japan 138 291n 27l 6f 9.00e 12.0f
Japan 139 394j 43h 4h 10.75b 8.0h
Japan 141 621f 64b 8d 8.00i 16.0d

Mean 530.9 54.0 6.9 8.4 13.9

Table 4.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in 17 accessions of perilla using HPLC analysis.

Phenolic com. GA PY HO SU PR GE PH CT CH VA CA SY VN PC FE RU MC SA BE NA OC MY RE QU TC NE KA HN TOT
accessions

GA; Gallic acid, PY; Pyrogallol, HO; Homogentisic acid, SU; 5-Sulfosalicylic acid, PR; Protocatechuic acid, GE; Gentisic acid, PH; p- Hydroxybenzoic acid, CT; (+)Catechin, CH; Chlorogenic acid, VA; Vanillic acid, CA; Caffeic acid, SY; Syringic acid, VN; Vanillin, PC; p-Coumaric acid, FE; Ferulic acid, RU; Rutin, MC; m-Coumaric acid, SA; Salicylic acid, BE; Benzoic acid, NA; Naringin, OC; o-Coumaric acid, MY; Myricetin, RE; Resveratrol, QU; Quercetin, TC; t-Cinnamic acid, NE; Naringenin, KA; Kaempferol, HN; Hesperetin, FO; Formononetin, BI; Biochanin A, TOT; Total compounds.
------------------------------------------------------- μg g–1, dry weight -------------------------------------------------------
China 100 17.8 22.1 45.4 24.8 38.2 0.0 97.7 0.0 53.4 101.0 236.1 0.0 10.4 0.0 22.7 24.8 0.0 82.2 603.9 148.1 645.7 143.0 17.8 98.4 37.3 142.0 66.8 167.8 2847.0
China 102 18.7 68.8 16.2 21.4 19.9 0.0 88.8 0.0 52.7 17.9 292.5 0.0 7.1 0.0 22.0 24.1 0.0 66.1 229.5 75.4 242.6 236.0 14.6 111.4 13.8 94.3 60.6 162.6 1957.0
China 104 7.7 0.0 45.6 6.6 0.0 0.0 60.0 0.0 53.6 16.8 86.5 0.0 0.5 0.0 23.1 7.5 0.0 46.9 354.4 70.4 202.6 169.0 7.4 88.7 11.7 9.3 31.9 31.4 1331.0
China 107 27.1 84.9 0.0 42.6 0.0 204.3 69.7 22.1 0.0 22.7 244.8 0.0 0.2 0.0 18.6 10.3 0.0 51.5 101.9 51.2 0.0 107.0 8.3 84.6 10.1 0.3 36.4 26.4 1224.0
China 108 19.1 24.5 46.3 17.5 0.0 81.5 46.0 0.0 64.3 8.8 0.0 358.3 1.3 0.0 21.2 20.4 0.0 57.6 120.8 60.6 59.8 204.0 18.9 83.1 12.6 0.0 51.8 183.1 1562.0
China 109 22.2 21.6 45.4 0.0 38.8 0.0 11.8 0.0 55.9 0.0 44.2 329.5 15.5 9.1 24.7 17.8 0.0 105.4 124.6 58.2 1.5 292.0 15.0 108.1 15.4 202.1 70.9 284.3 1914.0
China 113 6.6 83.4 59.4 24.6 41.3 0.0 66.1 0.0 51.6 0.0 0.0 302.4 9.7 0.0 22.4 9.3 0.0 48.1 101.9 43.8 0.0 174.0 11.0 93.6 16.0 20.3 43.3 115.3 1344.0
China 114 22.6 27.6 49.4 5.7 18.6 0.0 57.1 0.0 23.5 30.1 0.0 322.0 0.0 0.0 18.4 10.3 1.8 46.2 59.3 39.8 0.0 196.0 9.9 86.2 10.2 35.9 36.3 127.0 1233.0
China 118 20.3 54.7 54.4 8.8 49.1 0.0 65.3 0.0 0.0 0.0 90.6 332.3 5.2 0.0 20.9 20.3 0.0 51.5 104.0 43.1 0.0 192.0 8.7 79.3 16.3 37.8 46.7 144.7 1448.0
China 119 26.4 49.6 55.1 9.5 0.0 0.0 62.8 0.0 23.2 0.0 43.7 220.8 0.0 0.0 19.0 7.2 0.0 44.3 105.4 40.2 0.0 187.0 7.4 71.3 8.9 0.0 33.0 15.4 1030.0
Japan 133 22.0 43.4 48.6 33.3 51.1 0.0 89.9 0.0 0.0 11.3 42.0 254.7 6.8 0.4 31.8 16.0 0.0 64.5 163.4 245.4 790.7 298.0 19.7 97.7 22.6 256.2 45.2 257.6 2913.0
Japan 134 18.9 61.2 44.1 41.8 50.6 0.0 96.6 34.5 78.3 13.1 0.0 358.7 2.4 0.0 33.0 15.4 0.0 69.6 222.1 241.6 658.8 385.0 21.6 104.8 24.9 147.0 80.3 114.5 2919.0
Japan 136 13.6 78.7 50.3 35.3 57.3 0.0 96.5 0.0 89.8 0.0 73.2 263.2 8.2 0.0 28.9 41.5 0.0 96.8 155.7 49.4 0.8 321.0 27.4 116.8 12.6 112.2 81.0 194.8 2005.0
Japan 137 23.1 50.1 47.8 16.3 54.3 0.0 85.1 0.0 50.3 22.7 0.0 299.5 17.6 0.0 23.7 9.6 0.0 71.1 188.7 75.3 3.4 165.0 13.5 75.0 19.9 85.0 73.5 172.8 1644.0
Japan 138 23.8 39.7 49.7 38.3 54.4 0.0 83.9 0.0 64.4 0.0 0.0 351.9 0.0 0.0 30.7 11.0 0.0 48.9 251.3 55.7 0.0 187.0 9.6 85.4 19.9 36.4 51.0 159.6 1652.0
Japan 139 18.3 61.2 59.6 52.6 17.7 0.0 117.9 29.7 64.9 15.5 45.3 137.8 13.0 20.5 39.2 50.3 0.0 112.7 209.8 441.9 3.9 5973.0 29.6 132.1 17.3 246.3 67.2 267.7 8245.0
Japan a141 20.9 0.0 44.8 5.9 40.8 109.2 55.8 0.0 51.3 23.4 0.0 294.2 3.8 0.0 26.1 7.6 0.0 25.3 162.5 102.2 0.0 207.0 7.3 77.6 15.5 154.7 0.0 194.8 16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