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2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2, No. 1, pp.53-59
Abbrevi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ISSN: 1225-9306 (Print) 2288-018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014
Received 13 Jan 2014 Revised 20 Jan 2014 Reviewed 27 Jan 2014 Reviewed 3 Feb 2014 Accepted 3 Feb 2014
DOI: https://doi.org/10.7783/KJMCS.2014.22.1.53

종자저장온도 및 전처리가 야생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의 종자발아 및 유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광김효연구자정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Germination, Seedling Quality on Wil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and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
Su Gwang LeeHyo Yun KimJa Jung Ku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487-82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1-540-1056 (E-mail) jjku@forest.go.kr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seedling quality and vigor index of wild Trichosanthes kirilowii and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As a result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T. kirilowii was the 95% at seed stored in room temperature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dH2O. An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T. kirilowii var. japonica was 96% at seed stored in 2°C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GA3 (100 ppm). But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non-significance in pre-treatment at seed stored in room temperature 2°C . Seedlings of T. kirilowii and T. kirilowii var. japonica showed not only the best seedling quality but also seedling vigor index in seed stored at 2°C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GA3 (100 ppm). In this research, T. kirilowii and T. kirilowii var. japonica seed were stored in room temperature or 2°C, and then sown in peat moss, seed germination rate was more than 90% and production of superior quality seedlings.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 Seed Germination, Seed Storage Temperature, Pre-Treatment

서 언

하늘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와 노랑하늘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는 박과 (Cucurbitaceae) 하늘타리속 (Trichosanthes)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하늘타리는 잎이 단풍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매는 주황색으로 익는다. 하늘타 리에 비해 노랑하늘타리는 잎이 옅게 갈라지고 열매가 노랑색 이다. 예로부터 하늘타리 뿌리에서 녹말을 내어 식용하였으 며, 열매, 씨앗 및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해 왔다 (Lee, 2007a). 한방에서 하늘타리 피층을 벗긴 뿌리를 괄루근, 가루 낸 것을 천화분, 열매를 괄루, 종자를 괄루인이라 하여 청열생 진 (淸熱生津), 소종배농 (消腫排膿), 윤폐화담 (潤肺化痰), 산 결골장 (散結滑腸), 이기관흉 (利氣寬胸)의 효능으로 사용하고 있다 (Ahn, 2008). 민간에서 하늘타리는 봄에 뿌리를 삶거나 우려먹고, 전분처럼 이용하기도 하고, 갈아서 수제비로 먹기도 하였다. 노랑하늘타리는 줄기를 절단한 후 수액을 척추치료를 위해 먹기도 하며, 뿌리는 하늘타리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였 다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특히 하늘타리와 노 랑하늘타리는 독성이 적어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 로 보고된 바 있는 (Jeon et al., 1998) 전통 유용약용식물이다.

지금까지 하늘타리에 관한 주요 연구로는 약리학 및 성분 분석연구가 대부분으로 항산화 (Zhoh et al., 2007), 항염 (Ozaki et al., 1996), 항암 (Kim et al., 2008), 항HIV (Lee-Huang et al., 1991) 등의 약리학적 연구와 성분 분석 (Lian et al., 2012), 이화학적 조성 (Jeon and Han, 2005), 전분 특성 (Koh, 1981)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노랑하늘타리 는 탈모 질환 예방, 탈모 방지 및 백혈병 세포주 증식억제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Kim et al., 2001a)된 바 있다. 이처 럼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가 갖는 다양한 식약용 특성으로 약리학 및 성분 분석연구는 활발한데 비해 종자발아와 재배연 구는 토양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 (Choi et al., 2010), 종자 휴면에 관한 연구 (Sun et al., 2008), 재배를 위한 토양 및 이식적기 구명연구 (Jo et al., 2007) 등이 진행되었을 뿐 종 자저장조건과 파종환경에 따른 종자발아와 이에 따른 유묘 생 육특성 등이 구명되지 못하였다.

현재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는 재배가 거의 이뤄지지 않 아 야생의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를 그대로 채취하여 식약 용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수요에 비해 공급 양이 부족하 기 때문에 부족분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Jo et al., 2007). 특히 야생의 것은 채취 지역과 환경에 따라 약효 와 성분함량이 달라질 수 있기에 (Gupta et al., 2013) 균일 품질의 약용식물 생산과 산업화를 위해서는 재배를 위한 기초 단계인 종자발아와 건전한 유묘를 획득하는 단계가 구명되어 야 한다. 무엇보다 야생종자는 발아하기 적합한 환경이 아니 면 휴면에 돌입하거나 발아율이 저조하여 (Bewley, 1997) 종 자저장온도와 저장방법 등의 적절한 발아조건 탐색은 야생식 물의 재배와 산업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Bonner, 2008). 현재 진행되는 대부분의 약용작물 발아시험은 실험실 수준에서 진행되어 실험실외에서의 발아율과 상이 (Lee et al., 2013) 할 수 있어 현장에서 직접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 (Kang et al., 2004)가 있다. 또한 발아율과 건전한 유묘를 획 득하기 위해 종자 전처리시 화학약품, 호르몬제 및 프라이밍 처리와 같은 전문적이고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다 (Nascimento, 2003). 따라서 본 연구는 야생의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 종 자발아와 유묘 생육특성에 미치는 종자저장온도와 전처리 효 과를 농가에서 적용 가능한 수준에서 최대한 단순화하여 살펴 보았다.


재료 및 방법
1. 시험재료

제주도 서귀포시 토평동 일대에 자생하는 하늘타리와 노랑 하늘타리의 완전히 성숙된 주황색 및 노란색 열매를 2012년 11월 11일 채취 후 지퍼백에 담아 실험실로 이동하였으며, 이 동 후 바로 과육을 제거하고 육안으로 충실한 종자만 선별하 였다. 정선된 종자는 야생 종자를 효율적으로 세척하는 방법 인 2% NaOCl로 30분간 세척 (Sauer and Burroughs, 1986) 하고 증류수로 5회 이상 수세 후 음지에서 24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여 50ml conical tube에 넣어서 실험 전까지 실험실 상온 (24°C± 4°C)에 11월 19일 저장하였다.

2. 종자저장온도와 전처리

종자저장온도는 Kim 등 (2001b)Hwang 등 (2012)에 의 해 종자의 발아력을 상당기간 유지 할 수 있는 −20°C, 2°C, 상온 (실험실 24°C± 4°C)으로 달리하였으며 −20°C와 2°C는 2 월 20일 (60일간)에 저장하였다. 전처리는 파종 하루 전 증류 수 및 GA3 용액 (100 ppm)에 24시간 침지처리한 처리구와 대조구로 달리하였다. 박과 식물인 참박 (Lagenaria leucantha Rusby) 종자 발아시 증류수와 GA3 100 ppm 1 ~ 2일 침지시 최대 발아율(97%)을 보고 (Kang et al., 2003)한 것과 Sun 등 (2008)에 의해 GA3 200 ppm 처리시 최적의 발아율을 보 고하였지만 100 ppm과 별 차이 (4%) 없어 효율적인 측면에서 GA3 100 ppm을 선택하였다. 전처리된 종자는 피트모스 (potgrond H, Germany)가 충진된 50구 플러그 셀 트레이 (plug cell tray)의 각 구마다 한 립씩 총 16립의 3반복으로 4 월 19일 (채종 160일 후)에 파종하였다.

3. 발아율 및 유묘 생육특성 조사

종자발아는 자엽이 상토를 뚫고 돌출된 것을 발아 한 것으 로 간주하였으며, 발아율은 6월 5일 (파종 35일 후) 데이터를 공시하였다. 유묘 생육특성인 초장 (mm), 엽수 (매), 엽폭 (mm), 엽장 (mm), 근장 (mm) 및 생중량 (mg, 지상·하)을 각 조건 당 9개체씩 6월 5일 조사하였으며, 건중량 (mg, 지상·하)은 시 료를 15일간 음지에서 충분히 자연건조 한 후 전자저울을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종자저장온도와 전처리에 따른 생중량 대 비 건중량의 수분 감소율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 수분감소율:

(Bw-Dw)/Bw × 100%

Bw: 생중량 (Biomass weight), Dw: 건중량 (Dry weight)

엽폭과 엽장은 완전히 전개된 위에서 2번째 잎을 대상으로 측 정하였으며, 근장은 길이가 긴 5개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 였다. 또한 유묘의 활력을 나타내는 지표 (Abdul-Baki and Anderson, 1973)로 사용되는 유묘활력지수 (Seedling Vigor Index)와 변형된 유묘활력지수 (Modified Seedling Vigor Index; Afrakhteh et al., 2013)를 통하여 하늘타리 및 노랑하 늘타리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탐색하였다.

- 유묘활력지수

(Seedling Vigor Index, SVI):

SVI = Germination (%) × [Plant height + Root length]

- 변형된 유묘활력지수

(Modified Seedling Vigor Index, MSVI):

MSVI = Germination (%) × [Plant height +Root length + Fresh weight (Top, Root) + Dry weight (Top, Root)] / 6

모든 실험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위치한 국립수목원 유용 식물증식센터 비닐온실에서 수행하였다.

4.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SPSS (ver. 12.0 K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 변량 분산분석 (MANOVA :Multivariate ANOVA)을 통해 처 리간 유의성을 살펴보았으며 유의성이 있는 경우 Duncan Multiple Range Test (DMRT) (p = 0.05)로 2차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종자저장온도 및 전처리에 따른 발아율

종자저장온도 (−20°C, 2°C, 상온)와 전처리 (대조구, 증류수 및 GA3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가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 리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하늘타리는 상온저 장 후 증류수 침지처리에서 95%의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 냈으며, 동일 저장온도의 GA3 용액 (100 ppm) 침지처리 (94%) 및 대조구 (92%) 순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Table 1, Fig. 1). 하지만 상온저장 조건 내에서 전처리는 유 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노랑하늘타리는 2°C 저온저장 후 GA3 용액 (100 ppm) 침지처리에서 96%의 가장 높은 발아율 을 나타내었으며 동일 저장온도의 대조구 (92%), 증류수 침지 처리 (85%) 순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Fig. 2). 하늘타리 와 마찬가지로 2°C 저온저장 내에서 전처리는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다.

2°C와 상온저장에 비해 −20°C 저장종자는 하늘타리 43 ~ 66%, 노랑하늘타리 67 ~ 72%의 발아율을 보여 2°C 및 상온저장에 비해 발아율이 24 ~ 52%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20°C 저장시 백수오 (Cynanchum wilfordii; Hwang et al., 2012)와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Kim et al., 2001b)의 발아율이 향상됨을 보고한 결과와 상이하였는데 주 요원인은 백수오나 황기는 난온대 일본에서부터 중온대 중국 동북부지역까지 자생 (Lee, 2007a; 2007b)하기 때문에 −20°C 에서도 종자활력을 잃지 않고 오히려 높은 발아율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는 우리나 라 중남부 이하 및 일본의 난온대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로 추 운 지역을 싫어하기 때문에 −20°C에서 저장한 경우 모수가 자 라는 환경과 상이하여 장기휴면에 돌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 히 저장온도가 발아율에 고도의 유의성 (하늘타리; p < 0.001, 노랑하늘타리; p < 0.01)이 인정된 것이 이를 뒷받침하였고, 이 미 하늘타리의 최적 종자저장온도를 25 ~ 35°C로 보고 (Sun et al., 2008) 한 것과 일치하였다. 또한 하늘타리는 2°C 혹은 상 온저장종자의 경우 전처리는 발아율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 되지 않았고, −20°C 저장종자 조건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 었다. 노랑하늘타리는 모든 조건에서 전처리가 발아율에 유의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늘타리, 노랑하늘타리 모두 2°C와 상온에 저장된 종자를 전처리 없이 파종할 시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따라서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는 증류수 및 GA3 용액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가 종자 발아율 향상에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박과 식물 인 오 이, 참외, 호박의 수분 침종 시간에 따라 종자 발아율과 평균 발아시간에 차이를 나타낸 것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Lee et al., 2009). 그 이유는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는 종 자저장온도 (2°C와 상온)가 적절하여 휴면에 돌입하지 않고 최 적의 발아율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늘타리와 달리 상온 저장된 노랑하늘타리 종자의 GA3 침 지처리는 대조구나 증류수 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9 ~ 18% 이 상 감소하여 GA3 침지시 박 종자의 발아율이 감소됨을 보고 한 연구결과 (Kang et al., 2003)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같은 속 근연종인 하늘타리와 큰 차이를 보여 보다 면밀한 원인 분 석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보고된 하늘타리의 발아율은 송이석에 파종 시 88% (Choi et al., 2010)와 GA3 200 ppm 침지처리시 48% 로 보고 (Sun et al., 2008) 된 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 96% 의 발아율을 보였다. 이처럼 발아율에 차이를 보인 이유는 종 자저장조건과 토양 (피트모스), 그리고 채종 개체와 지역 차이 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종자저장온도 및 전처리에 따른 유묘 특성

저장온도와 전처리가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하늘타리는 2°C 저장 후 GA3 용액 (100 ppm)에 24시간 침지처리 된 종자를 발아시킨 유묘의 생육특성이 초장 54mm 엽수 8매, 엽폭 12mm, 엽장 13mm, 근장 113mm, 생중량 지상 부 739mg, 지하부 723mg, 건중량 지상부 176mg, 지하부 103mg으로 우수하였다 (Table 2). 특히 기존 및 변형된 유묘 활력지수가 각각 15737과 29869로 본 실험조건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온저장 후 GA3 용액 (100 ppm)에 24시간 침지처리 조건에서도 동일 수준 (p < 0.001)에서 우수한 유묘 의 생육특성과 활력지수를 나타내었다.

노랑하늘타리 또한 하늘타리와 마찬가지로 2°C저장 후 GA3 용액 (100 ppm)에 24시간 침지처리 종자를 발아시킨 유묘의 생육특성이 초장 44mm, 엽수 10매, 엽폭 21mm, 엽장 22mm, 근장 130 mm, 생중량 지상부 553 mg 및 지하부 363 mg, 건중량 지상부 103mg 및 지하부 93mg으로 우수하였다 (Table 3). 특히 기존 및 변형된 유묘 활력지수가 각각 16807 과 20611로 본 실험조건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온 저장 후 GA3 용액 (100 ppm)에 24시간 침지처리 조건에서도 동일 수준 (p < 0.01)에서 우수한 유묘의 생육특성과 활력지수 를 나타내었다.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 종자의 GA3 처리로 인해 유묘의 생육특성과 활력지수가 양호해지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2°C 저 장 종자의 경우 유의적으로 뚜렷한 상승을 나타내었다. 이는 종자의 GA3 침지처리는 배축의 신장을 도와 발아를 촉진시키 는 것은 물론 발아묘 생육특성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Balaguera-Lopez et al., 2009)된 바와 일 치하였다. 유묘 활력지수는 종자 발아 및 생육특성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며 무엇보다 후기 생존율과 잠재성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Mishra and Salokhe, 2008). 하지만 유묘 활력지수의 좋고 나쁨은 추후 유묘 활력지수를 바탕으로 등급을 나누어 재배를 통해 검증 (Manangkil et al., 2008)되 어야 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발아 조건과 유묘 활력 지수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배 실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하늘타리의 −20°C 저장 종자의 전처리 대조구 유묘의 생육 특성 중 생체중 (지상, 지하)은 612mg, 546mg으로 나타났으 나 건중량 (지상, 지하)은 88mg, 73mg으로 최적의 생육을 보 인 상온저장 조건의 전처리 대조구에 비해 수분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높은 수분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노랑하늘타리 또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자저장온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종자내부의 식물생장조절제인 GA3와 ABA가 감소되며 특히 ABA가 비정상적으로 감소하여 결국 내부의 GA3가 비정상적 으로 활성화되어 (Finch-Savage and Leubner-Metzger, 2006) 식물세포의 급격한 성장과 수분흡수 (Al-Hawezy, 2013)로 인 해 수분 감소율이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s 2, 3). −20°C 저장 종자의 증 류수 및 GA3 침지처리로 인해 유묘의 생육특성 및 활력지수 가 양호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상온 및 2°C 저장 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따라서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 리 자생지의 온도조건에 벗어난 저장온도는 종자휴면을 유도 하고 내부 식물생장조절물질과 활성물질 저조화로 인해 비정 상적인 유묘 생육특성과 저조한 활력지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실험에서 최종발아율을 파종 35일 이후 (6월 5일) 데이 터를 공시한 이유는 하늘타리는 35일 이내에 발아가 완료되며 (Sun et al., 2008) 식물생활사 중 발아단계에서 치사율이 가 장 높기 (Mark and Prince, 1981) 때문에 치사율이 지난 유 묘를 측정하기 위함이었다. 발아단계를 벗어난 수준에서의 최 종 발아율 (유묘 획득율)을 조사하는 것은 그만큼 건실한 유 묘를 획득하는 의미와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자저장 온도와 전처리를 달리하여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과 양질의 유묘를 획득할 수 있었고 최적의 저장방법과 전처리는 2°C 저 장과 GA3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로 나타났다.


REFERENCES
1. Abdul-Baki, AA, Anderson, JD, Vigour determination in soybean seed by multiple criteria, Crop Science, (1973), 13, p630-633.
2. Afrakhteh, S, Frahmandfar, E, Hamidi, A, Ramandi, HD,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vigor in two cultivars of soybean dri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fluidized bed dryer,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Crop Sciences, (2013), 5, p2537-2544.
3. Ahn, DK,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2008), Seoul Korea, Kyohaksa, 706.
4. Al-Hawezy, SMN, The role of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A3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oquat(Eriobotrya japonic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Veterinary Science, (2013), 4, p3-6.
5. Balaguera-Lopez, HE, Cardenas-Hernandez, JF, Alvarez-Herrera, JG, Effect of gibberellicacid(GA3)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tomato(Solanum lycopersicumL, Acta Horticulture, (2009), 821, p141-148.
6. Bewley, JD, Seed germination and dormancy, Plant Cell, (1997), 9, p1055-1066.
7. Bonner, FT, The woody plant seed manua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2008), p86-94.
8. Choi, SA, Ko, MS, Hyun, JM, Song, KM, Hyun, HJ, Yim, EY, Song, GP, Effects of various soil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 from Jeju, Korea. 2010 Fall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2010), p48.
9. Finch-Savage, WE, Leubner-Metzger, G, Seed dormancy and the control of germination, New Phytologist, (2006), 171, p501-523.
10. Gupta, PK, Varshney, DK, Bhavna Kumar, U, Extraction of pseudoprotodioscin like ompound fromZiziphus ziziphus xylopyruswild: Leaves, Der Pharmacia Lettre, (2013), 5, p231-240.
11. Hwang, IS, Yoo, JH, Seong, ES, Lee, JG, Kim, HY, Kim, NJ, Lee, JD, Ham, JK, Ahn, YS,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seed soaking on germination inCynanchum wilfordii(Maxim.) Hems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2), 20, p36-139.
12. Jeon, BY, Han, KS,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Trichosanthes kirilowiiMaximowicz,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5), 13, p150-153.
13. Jeon, GH, Song, HJ, Shin, MK, A herbalogical studyon the plants of Cucurbitaceae in Korea, The Journal ofTraditional Korean Medicine, (1998), 8, p47-63.
14. Jo, DH, Jeong, BJ, Kim, MS, Cultivation research ofTrichosanthes kirilowii,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Naju, Korea, (2007), p64-69.
15. Kang, JH, Yoon, SY, Jeon, SH, Analysis on practicality of seed treatments for medicinal plants published in Korean scientific journal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4), 12, p328-341.
16. Kang, SY, Kang, JH, Choi, YW, Jeon, BS, Lee, SW, Single or combined treatment effect of priming, gibberellin and prechilling on germination of gourd seeds,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2003), 13, p137-142.
17. Kim, DW, Lee, JH, Yoo, HS, Cho, JH, Lee, YW, Son, CG, Cho, CK, Effects ofTrichosanthes kirilowiiextract against angiogenesis and various tumor cell's growth,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8), 29, p490-499.
18. Kim, SC, Park, SY, Her, KH, Kim, SJ, Kang, HK, HL-60 Effect of extracts ofTrichosanthes kirilpwiivar.japonicaon the growth of HL-60 leukemia cells, Cheju Journal of Life Science, (2001a), 4, p95-102.
19. Kim, YG, Bang, JK, Yu, HS, Park, HW, Bang, KH, Seong, NS, Son, SY, Seed structure and effects of storage on germination of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ou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1b), 9, p259-264.
20. Korea National Arboretum, Folk plants in Korean peninsula III. Jeju-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009), p100-101.
21. Koh, JS,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Trichoxanthes kirilowiiroot star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1981), 24, p59-66.
22. Lian, L, Fan, XM, Chen, G, Li, W, Lu, X, Ma, HM, Shen, MX, Pei, YH, Two new compounds from the fruits ofTrichosanthes kirilowiiMaxim, Journal of Asian Natural Products Research, (2012), 14, p64-67.
23. Lee, GA, Kim, DH, Kim, MS, Wu, WG, Kim, YG, Ahn, YS, Park, CB, Song, BH, Studies on germination rates and early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by different storing temperatures durations and methods inAralia cordatavar. continentalis(Kitagawa) Y. C. Chu,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20-26.
24. Lee, SW, Chae, YS, Ko, KJ, Kang, HJ, Hong, JK, Park, SJ, Effect of seed soak time on germination of cucumber oriental melon and squash,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009), 53.
25. Lee, YN, New Korean illustrated plant book I, (2007a), Seoul. Korea, Kyohaksa, 639, p774.
26. Lee, YN, New Korean illustrated plant book II, (2007b), Seoul. Korea, Kyohaksa, 94.
27. Lee-Huang, S, Huang, PL, Kung, HF, Li, BQ, Huang, PL, Huang, P, Huang, HI, Chen, HC, TAP 29: An anti-human immunodeficiency virus protein fromTrichosanthes kirilowiithat is nontoxic to intact cel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991), 88, p6570-6574.
28. Manangkil, OE, Vu, HTT, Yoshida, S, Mori, N, Nakamura, C, A simple rapid and reliable bioassay for evaluation seedling vigor under subemergence in indica and japonica rice(Oryza sativaL.), Euphytica, (2008), 163, p267-274.
29. Mark, MK, Prince, SD, Influence of germination data on survival and fecundity in wild lettuceLactuca seriola, Oikos, (1981), 36, p326-330.
30. Mishra, A, Salokhe, VM, Seedling characteristics and the early growth of transplanted rice under different water regimes, Experimental Agriculture, (2008), 44, p365-383.
31. Nascimento, WM, Muskmel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development in response to seed priming, Scientia Agricola, (2003), 60, p71-75.
32. Ozaki, Y, Xing, L, Satake, M, Antiinflammatory effect ofTrichosanthes kirilowiiMaxim, and its effective parts,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96), 19, p1046-1048.
33. Sauer, DB, Burroughs, R, Disinfection of seed surfaces with sodium hypochlorite, Phytopathology, (1986), 76, p745-749.
34. Sun, T, Liu, P, Xu, G, Study on dormancy characteristics ofTrichosanthes kirilowiiMaxim, Scientia Agricultura Sinica, (2008), 12, p4237-4280.
35. Zhoh, CK, Uhm, TY, Kim, JC, Antioxidantive effectiveness ofTrichosanthes kirilowiiMaximowicz extract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007), 18, p625-629.

Figures and Tables

Fig. 1.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T. kirilowii.

(A) Storage temperature −20°C, Pre-treatment control (B) 2°C, con (C) RT, con (D) −20°C, dH2O (E) 2°C, dH2O (F) RT, dH2O (G) −20°C, GA3100 ppm (H) 2°C, GA3100 ppm (I) RT, GA3100 ppm.




Fig. 2.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T. kirilowiivar.japonica.

(A) Storage temperature −20°C, Pre-treatment control (B) 2°C, con (C) RT, con (D) −20°C, dH2O (E) 2°C, dH2O (F) RT, dH2O (G) −20°C, GA3100 ppm (H) 2°C, GA3100 ppm (I) RT, GA3100 ppm.



Table 1. 

The germination rate by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seed ofT. kirilowiiandT. kirilowiivar. japonica.


Treatment Germination rate (%)

Storage Temperature Pre-treatment T. kirilowii T. kirilowii var. japonica.

-20°C Con 66.1 ± 18.6b 69.4 ± 4.8*c**
dH2O 43.3 ± 10.8c 72.2 ± 11.7bc
GA3100 ppm 56.7 ± 8.8b 67.2 ± 12.1c

2°C Con 92.2 ± 1.9a 92.2 ± 1.9ab
dH2O 89.4 ± 4.8a 85.6 ± 5.1ab
GA3100 ppm 93.9 ± 1.0a 96.1 ± 3.5a

Room Temp. Con 92.2 ± 1.9a 94.4 ± 5.1a
dH2O 95.6 ± 3.9a 85.6 ± 12.5ab
GA3100 ppm 94.4 ± 5.1a 76.1 ± 3.5bc

Storage Temp. (S) *** **
Pre-Treat. (P) * NS
(S) × (P) NS NS
Values are mean ± SD. Values are means of triplicate.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the DMRT (p< 0.05).
NS
and
not significant, significant at the 5 and 0.1% levels of probability, respectively.

Table 2.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the seedling quality ofT. kirilowii.


Storage Temperature Pre-treatment Plant height (mm) No. of leaves Leaf width (mm) Leaf length (mm) Root length (mm) Fresh weight (mg/plant) Dry weight (mg/plant) Reduction rate (%) Seedling Vigor Index

Top Root Top Root Top Root Original Modified

-20°C Con 59.8cd 6.0bc 26.0ab 29.5ab 89.7b 612bc 546bc 88c 73b -85.62 -86.63 9881e 16177e*
dH2O 71.7bc 6.7ab 24.1bc 26.0ab 74.7c 585bc 333c 112bc 92a -80.85 -72.37 6339f 9153g
GA3100 ppm 83.6a 8.0ab 15.8cd 15.5c 111.5a 622b 342c 143ab 91a -77.01 -73.39 11062d 13164f

2°C Con 63.6cd 5.7bc 23.6bc 25.8ab 102.1a 624bc 548bc 141ab 91a -77.40 -83.39 15277ab 24121c
dH2O 46.4e 4.7c 23.4bc 26.7ab 72.3c 501c 747a 115bc 109a -77.05 -85.41 10611de 23701c
GA3100 ppm 54.3cde 8.3a 12.7d 3.3d 113.3a 739ab 723a 176a 103a -76.18 -85.75 15737a 29869a

Room Temp. Con 79.4ab 7.7ab 19.2c 20.7bc 77.5c 853a 515abc 184a 98a -78.43 -80.97 14466 27766
dH2O 55.4cde 5.7bc 24.0bc 27.6ab 87.8b 573bc 373c 156ab 101a -72.77 -72.92 13689c 21449c
GA3100 ppm 74.9bc 7.0ab 29.4a 29.4a 95.8b 696bc 684ab 173a 105a -75.14 -84.65 16114a 28771a

Storage Temp. (S) ** NS NS NS NS NS * *** * NS NS ** **
Pre-Treat. (P) * ** * * * * NS * NS NS NS ** *
(S) ×(P) ** NS *** ** NS NS NS NS NS NS NS * *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the DMRT(p< 0.05).
NS
and
not significant, significant at the 5, 1 and 0.1% levels of probability, respectively.

Table 3.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the seedling quality ofT. kirilowiivar.japonica.


Storage Temperature Pre-treatment Plant height (mm) No. of leaves Leaf width (mm) Leaf length (mm) Root length (mm) Fresh weight (mg/plant) Dry weight (mg/plant) Reduction rate (%) Seedling Vigor Index

Top Root Top Root Top Root Original Modified

-20°C Con 47.9bc 7.3 20.2 19.8 97.8 416cd 483a 71b 78 -82.93 -83.85 10111d 13807de*
dH2O 42.2c 8.0 19.1 22.4 132.1 488bcd 333b 102ab 112 -79.10 -66.37 12584c 14551de
GA3100 ppm 55.3bc 10.3 16.5 20.6 153.2 421bcd 470a 96ab 152 -77.20 -67.66 14011bc 15092d

2°C Con 51.5bc 12.0 12.0 13.5 103.2 383d 256b 67b 63 -82.51 75.39 14263bc 14194de
dH2O 61.4b 12.0 18.6 20.0 120.6 476bcd 313b 104ab 74 -78.15 -76.36 15579ab 16392c
GA3100 ppm 44.6bc 10.3 21.0 22.9 130.3 553ab 363b 103ab 93 -81.37 -74.38 16807a 20611a

Room Temp. Con 53.8bc 9.7 20.7 22.7 104.4 534ab 332b 103ab 98 -80.71 -70.48 14934b 19276ab
dH2O 47.3bc 11.0 18.0 18.6 119.2 508ab 346b 98ab 86 -80.71 -75.14 14252bc 17184bc
GA3100 ppm 77.7a 13.0 19.3 21.0 139.0 623a 367b 147a 90 -76.40 -75.48 16490a 18310b

Storage Temp. (S) NS NS NS NS NS * ** NS NS NS NS * *
Pre-Treat. (P) NS NS NS NS NS NS * * NS NS NS ** *
(S) × (P) ** NS NS NS NS NS NS NS NS NS NS * NS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the DMRT(p< 0.05).
NS
and
not significant, significant at the 5 and 1% levels of probabilit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