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2 , No. 4

[ ARTICL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2, No. 4, pp.255-261
Abbrevi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ISSN: 1225-9306 (Print) 2288-018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014
Received 2 Jan 2014 Revised 16 Jan 2014 Reviewed 13 Feb 2014 Reviewed 6 Apr 2014 Reviewed 21 May 2014 Reviewed 4 Jun 2014 Accepted 4 Jun 2014
DOI: https://doi.org/10.7783/KJMCS.2014.22.4.255

추출 방법에 따른 강황 잎 추출물의 향장 활성 비교
김남영*임혜원**이현용***,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세바바이오텍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Comparison of Cosmet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 Leaf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Nam Young Kim*Hye Won Lim**Hyeon Yong Lee***,
*Department of Medical Biomaterial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Shebah Biotech Co., Chuncheon Bioindustry Foundation Hi-Tech Venture Town, Chuncheon 200-161, Korea.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Seowon University, Cheongju 361-74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43-299-8471 (E-mail) hyeonl@seowon.ac.kr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smetic activities of the leaves of Curcuma longa L. were compared according to different drying methods, to expand the use of the by-products of Curcuma longa L.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of 29.4% was obtained from vacuum drying process (VD), whose value was very close to 29.2% from freeze drying process (FD). Relatively lower extraction yield were observed as 24.5% and 25.3% from the raw leaf (RL) as control and hot air drying process (HD). The cytotoxicity was observed lower FD and VD than RL and HD. It shows that cytotoxicity was closely related to cosmetic activities such as tyrosinase and melanin inhibition activities by showing much better cosmetic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both FD and VD than those from the RL and HD. It was interesting that was differences of the cosmetic activities and cytotoxicity between FD and VD, which implies that VD method should be a more efficient process than FD method in terms of drying time and operation costs: 6 hours vs 24 hours and 3-5 times higher extraction costs in drying. It was observed that VD is more excellent dry method than others. This result could be utilized to effectively dry other soft plant biomass.


Cosmetic Activity, Curcuma longa L., Leaf, Extraction Methods, Vacuum Dry

서 언

강황 (Curcuma longa L.)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울 금이라고도 하며, 인도를 비롯한 열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 다 (Lim et al., 2013). 강황은 일상생활에서 카레 등 항신료 및 건강식품으로 여러 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초학에서는 강황을 생약으로 사용할 시 혈액순환 촉진 및 통증완화 효과 가 뛰어나다고 하였다. 최근 강황의 지표물질인 curcumin의 약 리활성이 보고되면서 항혈전, 혈중지질강하, 항산화, 항염증, 항종양, 항균작용, 미백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다 (Jayaprakasha et al., 2005).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현재 강황의 뿌리와 줄기에만 치중되 어 있으며, 잎이나 꽃 등 부산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강황 부산물인 잎은 일부만 사료로 쓰이고, 그 외엔 모두 버려져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Ahn et al., 2012). 이렇게 버려지는 강황의 잎이나 꽃 등 부산물을 활용 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강황 부산물에 대한 환경문제 해결 및 강황 재배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 으며, 이와 관련된 산업의 성장동력 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강황 잎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현재 밝혀진 연구결과로 강황의 뿌리뿐만 아니라 강 황 잎에도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curcumin 성분이 존재하며, 기타 항산화에 효능이 있는 성분 들이 함유되어 있어 향장활성의 소재로 매우 가치가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Ahn et al., 2012).

강황 잎의 경우 뿌리에 비하여 조직이 매우 약하고 변질의 우려가 높은 부위이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로 사용하기 전 건 조과정이 불가피하다. 건조과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열 풍건조가 대표적이나, 오랜 건조시간과 일정 이상의 높은 온 도를 필요로 하므로 강황 내에 존재하는 많은 활성성분의 손 실과 품질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 출량을 감소시키면서 활성성분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감압 건조나 동결건조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동결건조법의 경우 고진공과 저온에서 실시되며, 물이 기압 에 따라서 그 끓는 점이 달라진다는 원리에 착안하여 만들어 진 건조기법이다. 동결건조법은 원료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한 채로 수분을 확실하게 제거시키기 때문에 원료 본래의 모양, 맛, 향, 색, 영양소 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 며, 동결건조 된 원료는 다공질 형태가 되기 때문에 물만 가 하면 23분 내에 신속하게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는 이점이 있다 (Kim et al., 2011). 그러나 건조 시간이 길어 비효율적 이며 많은 비용이 들어 제품화에 대한 건조기술로서는 문제점 을 가지고 있다 (George and Datta, 2002).

감압건조의 경우, 동결건조와 매우 흡사한 이점을 가지고 있 는 동시에 동결건조와 달리 낮은 압력에서 건조시키므로 원료 의 변형이 최소화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동결건조와 달리 낮은 압력에서 건조시키므로 원료의 변형이 최소화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으로 감압시켜 건 조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로 열풍 건조의 문제 점인 높은 온도에 의한 유효성분의 변성을 막고 동결건조의 문제점인 건조시간과 비용의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건조 기술 이다. 열풍건조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는 이점 을 가진 감압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강황 잎을 건조 시, 활성 성분들이 높은 온도에 의하여 불활성화 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량으로 폐기되는 강황 잎을 추출방 법을 달리하여 활성물질의 손실이 적은 추출법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하여 기능성 향장소재로서의 활용될 수 있도 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강황 (Curcuma longa L.)은 전북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것을 2011년 9월 중 잎 부분만 채취하였으며, 실험실로 옮겨 각각 열풍건조, 동결건조, 감압건조시켰다. 열 풍건조 강황 잎의 경우 열풍건조기 (CF-21WF, JEIOTECH, Daejeon, Korea)로 5 m/h의 유속으로 공기순환하여, 70 ~ 80°C 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8시간동안 건조시켰으며, 동결건조 강황 잎의 경우 동결건조기 (PVTFD 100R, ILSHINLAB, Yangju, Korea)를 이용하여 진공도 10mm Torr, −70°C 조건에 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고, 감압건조 강황 잎의 경우 감 압건조기 (VS-1202V5,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로 800 hPa로 60°C에서 감압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건조수율은 건 조 전 시료에 대한 건조 후 무게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세포배양 시 필요한 배지로 RPMI 1640 (Gibco,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였고, 그 밖에 배양에 필요한 시 약으로 hepes buffer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와 fetal bovine serum (Gibco, Carlsbad, CA, USA), gentamycin sulfat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Trypsin-EDTA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2. 시료 추출 조건

Ethyl alcohol과 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ethyl alcohol의 경우 70°C, 물에 경우 100°C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들을 감압농축장치 (Rotary Vacuum Evaporator N-N series, EYELA, Tokyo, Japan)로 농축을 하 였고,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세포주 및 세포 생육 배지

실험에 이용된 세포주로 Clone M-3 (Cloudman S91 melanoma, mouse, KCLB 10053.1, Seoul, Korea)를 사용하 였으며, 세포배양에 필요한 배지로 RPMI 1640 (Gibco,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였고 그 밖의 세포 배양에 필요 한 시약으로 hepes buffer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와 fetal bovine serum (Gibco, Carlsbad, CA, USA), gentamycin sulfat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trypsin-EDTA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RPMI 1640배지 90%에 FBS 를 10%로 적용시켜 배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4. 세포 독성 측정

3-(4,5-dimethythiazo-2-yl)-2,5-dipheny-tetrazoliumbromide (MTT)를 이용한 Mosmann방법 (Mosmann, 1983)을 달리하여 세포의 독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CCD-986sk 세포를 96 well plate에 각 well당 1.5 × 10⁴cells/well 농도로 접종한 후, 세 포가 well에 약 80% 정도 배양되었을 때 시료를 주입하고 CO₂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을 배양한 뒤 5µg/ml 농도의 MTT 용액을 각 well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상층액을 제거하고, acid-isopropanol (0.04 N HCl in isopropanol)을 각 well에 10 µl 씩 첨가한 후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56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Tyrosinase 억제활성 측정

Tyrosinase 억제활성 실험은 기초 향장 활성 실험 중 하 나로 피부내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으로서 실험은 dopachrome방법 (Pomerantz, 196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ushroom tyrosinase (150 unit) 150 µl , 2.5 mM 농도의 Ltyrosine 225 µl , 0.4 M hepes buffer (6.8) 225 µl , 그리고 300 µl 의 ethanol 용액 혹은 시료 (1mg/ml)용액을 섞은 후 배 양 전과 15분간 배양을 한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각각 측 정하였다.

Tyrosinase 억제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Tyrosinase inhibition (%) = C-D-A-BC-D×100

A는 시료를 가지는 용액의 배양 후의 흡광도이며, B는 시료 를 가지는 용액의 배양 전의 흡광도, C는 시료를 가지지 않는 용액의 배양 전의 흡광도, D는 시료를 가지지 않는 용약의 배 양 후의 흡광도이다.

6. Clone M-3 세포로부터 Melanin 생성 저해율 측정

쥐에서 유래한 Clone M-3 세포는 melanin을 생성하는 melanocyte다. Melanin은 표피 기저층의 melanocyte의 소기관 인 melanosome에서 생합성되며 가시광선 영역대 파장의 흡광 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량을 비교한다 (Lim et al., 2006). Clone M-3 세포를 96 well plate에 접종을 한 후 3일동안 시료를 처리하고 배지를 제거한다. 그 후 각 well을 PBS로 세척하고, 1 N NaOH 1ml을 첨가한 뒤 교반하여 Clone M- 3 세포의 세포막을 융해함으로써 melanin을 용출되게 하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7. Hyaluronidase 활성 저해 효과 측정

Hyaluronidase 활성 저해 효과는 0.1 M acetate buffer (pH 3.5)를 용매로 한 hyaluronidase (7900 unit/ml) 50 µl 에 시료를 농도 0.2, 0.6, 1.0 mg/ml가 되도록 20µl 씩 첨가하 였다. 효소의 활성을 위해 12.5 mM 농도의 CaCl₂ 200 µl 를 혼합한 후 37°C water-bath에 20분간 배양시켰다. 대조군은 DMSO 용액을 넣고 water-bath에 20분간 배양하였다. 활성화 된 hyaluronidase 용액에 0.1 M acetate buffer (pH 3.5)에 녹 인 hyaluronic acid from rooster comb (12mg/5ml) 250 µl 를 첨가하여 다시 water-bath에 4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0.4 N NaOH용액 100 µl 와 0.4 M potassium tetraborate 100 µ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끓는 수조에서 3분간 배양시킨 후 냉각시켰다. 반응물에 dimethyl aminobenzaldehyde 용액 (p-dimethyl amino-benzaldehyde 4 g, 100% acetic acid 350ml, 및 10 HCl 50ml 혼합액) 3.28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37°C water-bath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Hyaluronidase Inhibition (%) = ODC-ODSODC×100

(ODc: Optical density of control, ODs: Optical density of samples)

8.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한 강황 잎 조직 관찰

각 건조과정을 거친 강황 잎의 조직 관찰을 위하여 저진공 주사현미경 (Low Vacuum-Scanning Electron × 400)으로 관찰 하였다.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은 금, 백금 등 을 이용하여 입자를 3 ~ 4mm 정도 얇게 증착하는 전처리 과정 을 거친 후, 강황 잎의 조직형태를 관찰하였다.

9. 통계처리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각 시료를 3회 반복으로 행해졌으며, 실험값의 통계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two-way ANOVA방법으로 처리하였으며, 실험 값은 평균 ±표준오차 (Mean ± Standard Error)로 표시한 뒤, 처리구간의 최소 유의 수준의 차 (p < 0.05)로 통계처리 하 였다.


결과 및 고찰
1. 수율

강황 (Curcuma longa L.)의 건조 및 추출 수율은 Table 1 에 나타내었다. 강황 생잎에 대한 각 건조방법 별 건조수율을 측정한 결과 감압 건조시킨 강황 잎의 건조수율이 약 19.4% 로 가장 높았으며, 동결 건조시킨 강황 잎의 건조수율이 18.8%, 열풍건조 된 강황 잎의 수율이 17.8%로서 가장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건조방법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건조 후 추출과정을 거쳐 얻은 강황 잎 추출 물의 추출 수율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건조 방법 중 감압 건 조시킨 강황 잎의 추출 수율이 열수 추출의 경우 26.5%, 에 탄올 추출의 경우 29.4%로 가장 높았으며, 동결 건조시킨 강 황 잎의 경우 열수 추출의 수율이 25%, 에탄올 추출의 수율 이 29.2%로 감압건조 강황 잎 보다 근소하게 수율이 낮았고, 열풍 건조시킨 강황 잎의 경우 열수 추출이 22%, 에탄올 추 출이 25.3%로 가장 낮았다. 추출 용매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에는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보다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수율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건조 방법과 추출용매를 종합적으로 비교 관찰하였을 때 감압 건조 하여 에탄올 추출과정을 거친 강황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 았다. 이 결과로 보아, 건조수율의 경우에는 수분함량의 차이 에 의하여 측정된 수율이기 때문에 추출수율에 비하여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이라 사료되며, 건조된 강황 잎을 추출했을 때 건조 방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건조과정 중 온도에 따른 유효물질의 손실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Nam, 2005). 이에 보다 정확한 활성차이를 확인하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세포 독성 및 향장실험 을 진행하였다.

2. 세포 독성 측정

건조과정을 거친 강황 잎 추출물을 human fibroblast CCD-986sk에 투여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향장 및 기능성 소재 로서의 사용이 적합한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각 시 료의 농도별 세포 독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최 대 25%를 넘지 않았다 (Fig. 1). 각각의 시료 세포독성을 살 펴보면 생잎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가장 높게 나 타내었으며, 그 중 감압 건조과정을 거친 강황 잎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이 모든 농도에서 20%를 넘지 않았다.

각 건조방법을 거친 강황 잎 추출물 모두 일반 강황 생잎 추출물의 세포독성보다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감압 건조를 거친 강황 잎 추출물이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가 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강황 잎은 건조과 정을 거치게 되어도 독성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 었고, 이것으로 건조된 강황 잎의 향장소재로서의 사용이 가 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3. Tyrosinase 억제활성 측정

Tyrosinase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효소로 tyrosin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알 아 볼 수 있다. 건조방법별 강황 잎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달 리하여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을 Fig.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보면 모든 추출물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의 저해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동 결 건조 및 감압 건조과정을 거친 에탄올 추출물이 모든 조건 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이 적을수 록 좋은 미백효과를 가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저온에서 건조 시킨 강황 잎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미백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4. Clone M-3 세포로부터 Melanin 생성 저해율 측정

건조방법 및 추출 용매 별 강황 잎 추출물이 Clone M-3 세포주로부터 melanin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 추출물들의 농도를 각각 0.2, 0.6, 1.0mg/ml의 농도로 처리 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Fig. 3에서 볼 수 있듯이 강황 잎 추출물은 1.0mg/ml의 농 도에서 모든 실험군이 가장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보였 으며, 건조방법과는 상관없이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 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증숙 및 초고압 증숙 공정을 통한 더 덕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논문에서 살펴보면 (Kim et al., 2013) 초고압 증숙 더덕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1.0mg/ml의 농도에서 약 25 ~ 30%로 같은 농도의 에탄올 감 압건조 강황 잎 추출물과 거의 비슷한 활성을 보여, 강황의 뿌리가 아닌 잎도 충분히 미백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으로 보아 추출 공정 시 강황 잎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 화 및 미백효과에 우수한 curcumin (Jayaprakasha et al., 2005)이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로 사료되는 바이며, 또한 강 황 지상부의 항산화 성분 (Ahn et al., 2012)에 대한 연구에 서 살펴보면 기타 항산화 물질들에 의해 멜라닌 생성 억제에 도움될 것을 보이며, 이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감압건조 조건이 확립된다면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로서 기능 성 화장품의 미백제로도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고 사료된다.

5. Hyaluronidase 활성 저해 효과 측정

피부 미백 효과와 함께 향장활성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피부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yaluronidase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Hyaluronidase는 피부 보습 및 탄력 유지에 기여 하는 hyaluronic acid의 분해효소로 피부면역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hyaluronidase 억제 활성을 측정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다. 결과를 통해 모든 시료 조건에서 hyaluronidase 억제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소 18%에서 최대 43%까지 저해 효과는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조 방법 별로는 열풍 건조 강황 잎 추출물이 동 결건조 추출물과 감압 건조 추출물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활 성을 나타내었으며, 감압 건조 추출물에 경우 동결 건조 추출 물에 비해 미미하게나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 으로 보아 가공 공정 시 강황 잎에 함유되어 있는 항염증 및 항균작용이 뛰어난 curcumin 성분 (Jayaprakasha et al., 2005) 및 항산화물질 (Ahn et al., 2012)에 대한 강황 잎의 피부면역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장소재로서 적 합함으로 사료된다.

6.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한 강황 잎 조직 관찰

여러 건조방법에 의한 강황 잎 조직의 형태적 변화를 관 찰하기 위하여 저진공 주사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강황 잎 시료의 표면을 확대 하여 관찰하였다 (Fig. 4). (a)는 아무런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 은 강황 잎의 표면으로 손상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건조과정을 거친 강황 잎의 조직과 비교하기 위하여 촬 영하였다. 열풍건조 과정을 거친 (b)는 강황 잎 조직이 손상 및 변형 되어 (a)와 비교하여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 었다. 그러나 저온에서 진행된 감압 건조와 동결건조를 거친 (c)와 (d)의 경우 (a)와 비교하여 약간의 변화가 있으나, (b)와 같은 손상이나 변형의 흔적은 현저히 적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열풍건조를 시킨 강황 잎의 경우 유용물질 의 수득을 위한 추출과정도 거치기 전에 높은 온도에 의하여 유용물질의 파괴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동결건조 및 감 압건조와 같은 저온건조를 이용하여 열풍건조 과정에서 고온 에 의해 일어난 유용물질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Nam, 2005).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4년도 농촌진흥청 어젠다 연구개발사업의 지 원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hn, DR, Lee, EB, Ahn, MS, Lim, HW, Xing, MM, Tao, C, Yang, JH, Kim, DK, Antioxidant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Curcuma long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012), 43, p274-278.
2. George, JP, Datta, A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eat and mass transfer models for freeze-drying of vegetable slices, Journal of Food Engineering, (2002), 25, p89-93.
3. Jayaprakasha, GK, Jagan, M, Rao, L, Sakariah, KK, 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C. longa,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2005), 16, p533-548.
4. Kim, GC, Lee, SY, Kim, KM, Kim, Y, Kim, JS, Kim, HR,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and freeze dried apples slices after osmotic dehyd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1), 40, p848-852.
5. Kim, JS, Choi, WS, Chung, JY, Chung, HC, Lee, HY, Enhancement of cosmeceutical activity fromCodonopsis lanceolataextracts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204-212.
6. Lim, E, Browing, J, MacGregor, D, Davis, ID, Cebon, JS, Desmoplastic melanoma: Comparison of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antigens and cancer testis antigens, Melanoma Research, (2006), 16, p347-355.
7. Lim, JD, Kim, EH, Yun, JY, Park, HI, Shim, HS, Choi, RN, Yang, YS, Park, CB, Ahn, YS, Chung, IM, Effect of temperatures and fillers on yield and quality of turmeric (Curcuma longaL.) during postharvest seed rhizome storag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334-341.
8.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 p55-63.
9. Nam, KY,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Panax ginsengC. A. Meyer),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5), 29, p1-18.
10. Pomerantz, SH, Separation,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wo tyrosinases from hamster melanoma,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63), 238, p2351-2357.

Figures and Tables

Fig. 1.  Cytotoxicity of theCurcuma longaL. by different dried condition.

Mean value ± SE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H)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f)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R; raw leaf extracts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R; raw leaf extracts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Fig. 2.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ofCurcuma longaL. by different dried methods.

Mean value ± SE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H)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f)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R; raw leaf extracts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R; raw leaf extracts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Fig. 3.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ofCurcuma longaL. by different dried methods. Mean value ± SE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H)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f)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R; raw leaf extracts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R; raw leaf extracts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Fig. 4.  Morphology observation of driedCurcuma longaL.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500).

(a); RL, Raw Leaf, (b); HD, dried after Heat Treatments, (c); FD, Freeze Drying, (d); VD, Vacuum Drying.



Table 1. 

Yield ofCurcuma longaL. by different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condition.


RL HD FD VD

Drying Yield (%) 17.81 ± 0.02Aa† 18.84 ± 0.02Ab 19.42 ± 0.02*Ac
Extraction Yield (%) Extraction condition WE 21.44 ± 0.01Aa 22.03 ± 0.01Bb 25.04 ± 0.01Bb 26.53 ± 0.02Bc
EE 24.49 ± 0.02Ba 25.27 ± 0.01Ca 29.16 ± 0.02Cb 29.38 ± 0.02Cb
RL; Raw Leaf, HD; dried after Heat Treatments, FD; Freeze Drying, VD; Vacuum Drying.
Mean value ± SE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C) within same drying method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c) within same extractrac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Table 2.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ofCurcuma longaL. by different dried methods.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 Concentration (mg/ml)

0.2 0.6 1.0

Extraction and Dry methods WR 20.98 ± 0.13Aa 28.51 ± 0.72Aa 38.25 ± 0.84*Aa
ER 21.52 ± 0.18Ba 30.38 ± 1.08Bb 41.25 ± 0.54Bb
WH 18.32 ± 0.21?Cb 25.84 ± 0.84Cc 34.14 ± 1.21Cc
EH 9.02 ± 0.10Db 27.54 ± 0.56Dd 38.24 ± 0.34Dd
WV 22.98 ± 0.24Ec 31.54 ± 0.32Ee 42.54 ± 0.56Ee
EV 22.59 ± 0.12Fc 32.59 ± 0.94Fe 43.10 ± 0.27Fe
WF 21.98 ± 0.54Gc 32.19 ± 0.22Ge 41.13 ± 0.62Ge
EF 22.41 ± 0.33Hc 29.37 ± 0.35Hf 42.58 ± 0.45He
Mean value ± SE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H)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f)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R; raw leaf extracts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R; raw leaf extracts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H; leaf extracts of dried after heat treatment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C, EV; leaf extracts of vacuum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 W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water extraction at 100℃, EF; leaf extracts of freeze dry by ethyl alcohol extraction at 6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