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상동나무의 열매와 종자발아 특성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Characteristic of seed for Sageretia thea fruits collected from the habitat of harvest season in Jeju and their germination ratio in different temperatures were considered. The average weight was 0.2 g, average diameter was 7.2 mm, average length was 6.5 mm, and size distribution range was 5.1 ~10.0 mm. The number of seeds per fruit was 1.8, and 1000 grain weight was 7.77 g with diameter of 3.7 mmand thickness of 1.7 mmin size. The fruit maturation was investigated to be from April 27 to June 1, when the best maturation period was about a week, May 11 to May 18. Also, the fruits grown on May 4 to May 11 were seen to have the bigger in transverse size and weight with a tendency of the earlier maturation date has the greater the number of seeds. S. thea seeds pretreated for 24 hours at 50°Cwere not germinated, while most of those pretreated for 24 hours at 4°Cwere successfully germinated at any degree of temperature (except at a temperature of 10°C). Particularly,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55% was made at 15°C, and plumule and radicle were best grown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C.
Keywords:
Fruit, Germination, Harvest, Sageretia thea, Seed서 언
제주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상동나무 (Sageretia thea (Oseck) M.C. Johnst)는 갈매나무과 (Rhamnaceae) 상동나무속 에 속하는 식물이다. 갈매나무과는 갈매나무목 (Rhamnales)의 3개과 (Rhamnaceae, Leeaceae, Vitaceae) 중에서 수종이 가장 다양하고 대부분이 교목 혹은 관목이나 일부 덩굴식물도 존재 하며, 열대와 아열대지방을 중심으로 온대지방에 이르기까지 약 45 ~ 58속 900 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7속 20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추나무, 헛개나무, 상 동나무 등의 열매는 예로부터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하여 왔 다. 그 중 상동나무속 (Sageretia)은 아시아의 동남부와 북아 메리카의 따뜻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 30 종, 우리나라에는 1종 1품종이 분포하고 있다 (Choo, 1992).
우리나라의 상동나무에 관한 기록은 몇몇 고서에 의하여 보 고되고 있으며 (Palibin, 1898; Nakai, 1920), Choo (1992)는 갈매나무과의 계통학적 분류에서 상동나무에 대한 꽃, 잎, 열 매 등의 외부형태 관찰과 화분 관찰, 동위효소분석, 해부학적 관찰조사를 보고하였다. 상동나무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 구도 몇편 보고되고 있는데, Yoo와 Kwak (1989)은 줄기와 뿌리에 saponin, terpenoid, anthraquinone, flavonoid가 함유되 어 있음을 보고하였고, Park (2001)은 줄기와 잎 추출물이 항 HIV-1 protease에 대해 34.1% 활성을 억제하며, 잎에서 추출 한 물질이 항 헬리코박터필로리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 였다. 또한, Chung 등 (2004)은 잎에서 분리한 7-O-methyl mearnsitrin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보고를 하였으며, Oh와 Koh (2009)는 잎과 줄기에서 81.7%의 α-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내고 비만과 당뇨병의 예방을 위한 생리활성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식품 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근 각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재배화 및 산업화를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생식물 중 상동나무는 관상 수뿐만 아니라 식용이나 약용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고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보 (Song et al., 2014)에 이어 상동나무 열매의 적정 채취 시기 판단 및 온도별 종자발아 특성을 밝혀 향후 상동나무의 재배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상동나무 열매의 특성조사를 위하여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 리에 자생하는 군락지에서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1주일 간 격으로 시료를 수확하였다.
2. 상동나무 열매와 종자의 특성 조사
열매의 외부형질 조사로는 횡경과 종경, 무게 그리고 열매 당 종자수를 조사하였다. 상동나무 종자의 형질 특성은 열매 에서 과육을 분리한 후 종자의 횡경과 종경, 두께를 측정하였 으며, 1,000립중은 종자의 수분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 에 10일간 음건한 후 조사하였다. 열매와 종자의 크기는 Vernier caliper (CD-20CP, Mitutoyo Co, Yokohama, Japan) 를 이용하여 mm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무게는 전자저울로 측 정하였다.
3. 상동나무 종자 발아특성 조사
상동나무 종자를 4°C와 50°C에서 24시간 전처리한 후 직경 9cm petri dish에 여과지 2매를 깔고 종자를 치상한 후 증류 수 5 mL를 공급하여 생장상에서 처리 온도별로 종자발아 실 험을 수행하였다.
처리온도는 Growth chamber (UWP 3009-2, Hotpack Co., Philadelphia, PA, USA)를 10°C, 15°C, 20°C, 25°C 및 30°C 로 각각 조절하여 20일간 배양하였으며, 1일 간격으로 유근이 종피를 뚫고 1mm 이상 신장된 개체를 발아한 것으로 간주하 여 계수하였으며 (Kang et al., 2004), 발아조사 결과를 이용하 여 발아율 (germination percentage, GP), 평균발아일수 (mean germination time, MGT), 발아지수 (germination index, GI), 발아속도계수 (coefficient of velocity of germination, CVG) 를 계산하였다. 발아율 (GP)은 총 공시종자에 대한 발아종자 의 백분율을 표시하였으며, GP = (N/S) × 00의 식을 이용하 였다. 여기서 N은 총 발아수, S는 총 공시종자수이다. 발아지 수 (GI)는 G I = ΣTiNi/S의 식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Ti는 치 상 후 경과일수이고, Ni는 i일에 발아 종자의 수, S는 치상된 종자의 총 수이다. 평균발아일수 (MGT)는 MGT = Σ(TiNi)N식 을 이용하였으며, 식에서 Ti는 치상 후 조사일수, Ni는 조사당 일의 발아수, N은 총 발아수이다. 발아속도계수는 평균발아일 수의 역수로 표현하였다 (Scott et al., 1984; Sundstrom et al., 1987).
4. 통계분석
각 실험 및 조사 결과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8.0,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로 p < 0.05에서 유의성을 검증하 였다. 각 처리간의 유의적 차이는 Duncan의 다중검정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상동나무 열매와 종자의 특성
상동나무 열매의 무게, 크기 및 종자수를 조사하였다 (Table 1). 상동나무 열매의 평균 무게는 0.2 g으로 Ko 등 (2003)이 보고한 섬오갈피나무 열매의 무게 (0.092 g) 보다는 무거웠고 Kim 등 (2010)이 보고한 오디 (2.4~6.38 g)와 Bae (2004)가 보고한 블루베리 (1.7 ~ 2.6 g) 보다는 가벼웠으나 Kim 등 (2012)이 보고한 정금나무 (0.25 g)와 비슷하였다. 상 동나무 열매의 횡경은 7.2mm, 종경은 6.5mm로 Ko 등 (2003) 이 보고한 섬오갈피나무 열매의 횡경 (5.6mm)보다는 크고 Bae (2004)가 보고한 블루베리 (16.2 ~ 19.0mm)보다는 작았으며 Kim 등 (2012)이 보고한 정금나무 열매 (7.4 mm)와 비슷 하였다. 상동나무 열매당 종자 수는 1.8개였다.
상동나무 종자의 무게와 횡경, 종경 그리고 두께를 조사하 였다 (Table 2). 상동나무 종자의 1,000립중은 7.77 g으로 Ko 등 (2003)이 보고한 섬오갈피나무 종자의 1,000립중 (5.7 g)보 다 무거웠으나 Park 등 (1997)이 보고한 가시오갈피 종자의 1,000립중 (18.5 g)보다는 가벼웠다. 상동나무 종자의 횡경은 3.7mm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Ko 등 (2003)이 보고한 섬오갈피 나무 종자 4.6mm와 Park 등 (1997)이 보고한 가시오갈피나무 종자 7.1mm보다 작았다. 상동나무 종자의 종경은 4.9mm로 Kang 등 (2004)이 보고한 섬오갈피나무, 다래나무, 모과나무, 굴거리나무, 두충나무, 측백나무 등의 종자 (2mm 이하)보다 컸다. 상동나무 종자의 두께는 1.7mm로 Ko 등 (2003)이 보고 한 섬오갈피나무 종자 (0.6mm)와 Park 등 (1997)이 보고한 가시오갈피나무 종자 (1.47mm)보다 작았다.
상동나무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수확률을 조사하였다 (Fig. 1). 상동나무 열매의 수확시기는 4월 27일부터 6월 1일 까지로 36일이었으며, 최성 수확기는 5월 11일부터 5월 18일 이었다. 이는 Choo (1992)의 상동나무 수확기가 5월이라는 보 고와 일치하였으며 Kim (2009)이 보고한 블루베리의 일반적 인 수확기가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임을 감안할 때 수확 시기가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상동나무 열매의 성숙은 녹색에 서 자흑색으로 착색이 빠르게 변하면서 1주일 정도의 기간 에 급격히 비대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Suzuki 와 Kawata (2001)의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수확시기 연구에서 블루베리 열 매가 적색에서 진한 청색으로 변한 후 1주일간 급격히 비대하 며 당도가 증가하고 산도가 낮아진다는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상동나무 열매의 수확은 4회 정도로 나눠서 수 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데, 이 또한 Suzuki 와 Kawata (2001)가 블루베리는 착색시기가 달라 일시에 수확하 는 것이 불가능하여 3번이나 4번에 걸쳐 수확한다는 보고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상동나무에서 수확한 열매의 크기 분포율을 조사하였다 (Fig. 2). 열매의 크기별 분포는 6.1 ~ 7.0mm가 38.6%로 가장 많았으며, 7.1 ~ 8.0mm가 36.5%, 8.1 ~ 9.0mm 13.9% 순이었으 며, 6.1 ~ 8.0mm 범위의 열매가 전체의 75.1%로 대부분을 차 지하였다.
상동나무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열매의 무게와 크기 및 종자수를 Table 3에 나타냈다. 5월 4일부터 5월 11일에 수확 한 상동나무 열매의 무게와 횡경 그리고 종경이 가장 무겁고 컸다. 종자 수는 일찍 수확할수록 많았는데 이는 블루베리를 일찍 수확하거나 크기가 클수록 종자수도 많았다는 보고와 유 사한 경향을 보였다 (Lang and Danka, 1991; Moore et al., 1972; Ritzinger and Lyrene, 1998).
수확시기와 열매 특성간 상관관계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수확시기와 열매의 무게 (r = –0.156), 횡경 (r = –0.187), 종경 (r = –0.189) 및 종자수 (r = –0.613)는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늦게 수확할수록 감소하였다. 하지만 열매의 횡경과 의 상관관계를 보면 종경은 r = 0.775, 무게는 r = 0.919, 종자 수는 r = 0.325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횡경이 클수록 종경이 클뿐만 아니라 무게도 무거우며 과일당 종자수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2. 상동나무 종자의 발아특성
평균발아일수, 발아지수, 발아속도계수 및 발아율을 조사하 였다 (Table 5). 상동나무 종자의 평균발아일수는 15°C 처리구 에서 11.6일로 가장 늦었으며, 20°C와 25°C 처리구에서 각각 9.0일, 9.9일로 비슷하였고, 30°C 처리구에서는 5.7일로 가장 빨라 온도가 높을수록 평균발아일수가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발아지수는 15°C에서 발아시킨 처리구에서 발아지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0°C이었으며, 25°C와 30°C는 발아지수가 낮 아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알 수 있 었다.
발아속도계수는 발아율과 함께 다양한 온도조건 하에서 종 자의 발아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상동나무 종자의 발아속도계수는 15°C 처리구에서 8.9%, 20°C 처리구에서 11.4%, 25°C 처리구에서 10.3%, 30°C 처리구에서 11.9%로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속도가 빠름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발 아일수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상동나무 종자를 50°C에서 24시간 전처리 후 배양한 처리 구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았으나 (자료 미제시), 4°C에서 24시 간 전처리 후 배양한 처리구에서는 10°C를 제외하고 발아하 였다. 따라서 상동나무 종자의 발아 전처리 온도는 4°C 저온 으로 하는 것이 고온처리보다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섬 오갈피나무의 종자발아는 5°C에서 후숙처리 하였을 경우 당년 도에 발아되지 않았으나 15°C에서 처리하였을 경우 당년도에 발아하였다는 상이한 결과 (Ko et al., 2003)도 보고되었다. 그러나 잔대의 경우 50°C에서 전처리한 것보다 0°C에서 전처 리할 경우 발아율이 높았으며 (Kim et al., 1995), 지리산 바 위솔과 제주 연화바위솔이 역시 4°C에서 전처리한 후 발아율 이 향상되었다는 보고 (Kang et al., 2010)는 상동나무 결과 와 유사한 발아 특성을 보였다.
상동나무 종자가 15°C와 20°C에서 높은 발아율을 보여 발 아 적정온도는 15 ~ 20°C로 발아적온 범위가 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종자의 발아율은 대부분 특정한 온도범위 내에 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매우 급격히 감소한다는 Thompson (1970)의 보고와 같이 상동나무 종자에 서도 15°C에서 발아율이 55%로 가장 높았으나 10°C에서는 발 아가 되지 않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상동나무 종자의 발아 율은 15°C에서 55.0%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Kang 등 (1997)이 보고한 야생식물의 발아는 작물에 비해 매우 저조하 여 50% 이상의 발아율을 보이는 종은 없었다고 보고한 결과 와 달랐다. 그리고 나도생강 (62.7%; Lee, 2006), 비술나무 (89.0%; Song et al., 2011a, b), 참느릅나무 (56.0%; Song et al., 2011a, b)와 비교하면 낮은 발아율이나, 느릅나무 (44.7%; Song et al., 2011a, b), 멀구슬나무 (42.3%; Park et al., 2012), 가문비나무 (39.0%; Song et al., 2011a, b)와 비교하 면 상동나무의 종자 발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상동나무 종자의 온도처리에 따른 치상 20일 후 유아와 유근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Table 6, Fig. 3). 25°C 처리구에서 유아와 유근의 길이가 가장 길었으 며, 다음으로 20°C에서 길었다. 유아의 무게 역시 25°C에서 가 장 무거웠으며, 다음으로 20°C 처리구 였다. 하지만 유근의 무 게는 30°C에서 가장 무거웠고 나머지는 비슷하였다. 따라서 상 동나무 종자는 25°C에서 유아와 유근 발육이 가장 좋음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 Bae, KS, Flower bud differentiation and flower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highbush blueberry(Vaccinium corymbosumL.) cultivars. Ph. D. Thesis, (2004), Wonkwang University, p46-50.
- Choo, GC, Systematic studies of the family Rhamnaceae in Korea. Ph. D. Thesis, (1992), Konkuk University, p22-70.
- Chung, SK, Kim, YC, Takaya, Y, Terashima, K, Niwa, M, Novel flavonol glycoside, 7-O-methyl mearnsitrin, fromSageratia theezansand its antioxidant effec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4), 52, p4664-4668. [https://doi.org/10.1021/jf049526j]
- Kang, BH, Shim, SI, Lee, SG, Park, SH, Survey on wild edible plant resources in Korea and it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7), 42, p236-246.
- Kang, JH, Yoon, SY, Jeon, SH, Analysis on practicality of seed treatments for medicinal plants published in Korean scientific journal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4), 12, p328-341.
- Kang, JH, Jeong, KJ, Choi, KO, Chon, YS, Yun, J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as affected by low temperature and GA in Orostachys 'Jirisan' and 'Jejuyeonhwa' seeds, Korea native plan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010), 28, p913-920.
- Kim, EJ, Characterization of blueberry(Vaccinium corymbosumL.) cultivars for growth and fruiting, and establishment of the cuttings-based propagation and soil management techniques. Ph. D. Thesis, (2009),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16-26.
- Kim, EO, Lee, YJ, Lee,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Morus albaL. cultiv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0), 39, p1467-1475. [https://doi.org/10.3746/jkfn.2010.39.10.1467]
- Kim, MS, Kim, SH, Han, JG, Park, I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of selected population ofVaccinium oldhamiMiq,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2), 25, p72-79. [https://doi.org/10.7732/kjpr.2012.25.1.072]
- Kim, S, Park, MS, Park, HK, Jang, YS, Studies on the seed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Adenophora triphyllaDC,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95), 3, p66-70.
- Ko, HJ, Song, CK, Cho, NK, Growth of seedl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Acanthopanax koreanumNaka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3), 11, p46-52.
- Lang, GA, Danka, RG, Honey-bee-mediated crossversus self-pollination of 'Sharpblue' blueberry increases fruit size and hastens ripening,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991), 116, p770-773. [https://doi.org/10.21273/jashs.116.5.770]
- Lee, YN, New Flora of Korea II, (2006),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496.
- Moore, JN, Reynolds, BD, Brown, GR, Effects of seed number, size, and development on fruit size of cultivated blueberries, HortScience, (1972), 7, p268-269.
- Nakai, T, Chosen shinrin shokubutsu hen(V. 9), (1920), Chsen stokufu, Seoul, Korea, p3-38.
- Oh, S, Koh, SC,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amylase inhibitory activity in angiosperm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09), 22, p71-77.
- Palibin, JW, Conspectus florae Koreae(I), Acta Horti Petropolitani, (1898), 17, p1-128.
- Park, CM, Choi, HS, Choi, CH,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germination of Melia azedarach L. see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2), 25, p14-23. [https://doi.org/10.7732/kjpr.2012.25.1.014]
- Park, HK, Park, MS, Kim, TS, Kim, S, Choi, KG, Park, KH, Characteristics of embryo growth and dehiscence during the after-ripening period inEleutherococcus senticosu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7), 42, p673-677.
- Park, JG,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s o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protease activity in medicinal plants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Orostachys japonicusshowing its activity. Master Thesis, (2001),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34-45.
- Ritzinger, R, Lyrene, PM, Comparison of seed number and mass of southern highbush blueberries vs. those of their F1 hybrids withV. simulatumafter open pollination, HortScience, (1998), 33, p887-888. [https://doi.org/10.21273/hortsci.33.5.887]
- Scott, SJ, Jones, RA, Williams, WA, Review of data analysis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Crop Sciences, (1984), 24, p1160-1162. [https://doi.org/10.2135/cropsci1984.0011183x002400060043x]
- Song, JH, Lim, HI, Jang, KH, Germination behaviors and seed longevities of threeUlmusspec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1a), 24, p438-444.
- Song, JH, Jang, KH, Kim, DH, Lim, HI, The variation of cone,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Siebold & Zuccarini) carriere populat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1b), 24, p69-75.
- Song, SC, Song, CK, Kim, JS, Veget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Sageretia theain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4), 22, p301-305. [https://doi.org/10.7783/kjmcs.2014.22.4.301]
- Sundstrom, FJ, Reader, RB, Edwards, RL, Effect of seedtreatment and planting method on tabasco peppe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987), 112, p641-644.
- Suzuki, A, Kawata, N, Relationship between anthesis and harvest date in highbush blueberry,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001), 70, p60-62. [https://doi.org/10.2503/jjshs.70.60]
- Thompson, PA, Characterization of the germination responses to temperature of species and ecotypes, Nature, (1970), 225, p827-831. [https://doi.org/10.1038/225827a0]
- Yoo, SJ, Kwak, JH, Phytochemical screening of Korean plants(I). on Urticaceae, Celastraceae, Rhamnaceae, Sterculiaceae and Rubiaceae,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989), 20, p149-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