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 유전자원의 지방산 변이 및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ontent of two major phenolic acids, caffeic and rosmarinic acids, of 45 Perilla accessions collected from Russia.
A total of 45 accessions of the genus Perill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accessions were analyzed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their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s were determined using a reversed-phase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system. The Perilla seed oil was recovered using hexane in a soxhlet extraction method.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using a Shimadzu QP2010 gas chromatography-mass spectoroscopy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ions IT226732 and IT274300 had the highest content of caffeic and rosmarinic acid, respectively. A cluster analysis based on antioxidant assay results and concentration of phenolic acids led to the categorization of Perilla accessions into three major groups. The accessions in Group I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accessions in the other two groups (p < 0.05). The total oil content ranged between 28.39 and 46.89%. The compositions of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ranged from 11.83 to 19.55%, 11.92 to 16.71%, and 59.19 to 67.2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ccessions IT274300, IT226732, IT274293, IT235818, and IT235820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functional materials.
Keywords:
Perilla, Plant Germplasm, Functional Component, Oil Composition서 언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는 우리나라의 대표 유지작물 중 하나로 인도에서 중국, 동아시아에 이르는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꿀풀과 들깨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이며 최근 미국, 남아프리카, 이집트, 러시아 등지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들깨는 식용 외에도 예로부터 기관지, 염증 관련 치료제로 쓰이거나 등불 연료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깻잎에서 추출한 정유는 소스, 치약 등의 향료로도 이용되고 강한 방부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항 곰팡이 제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Hong et al., 1986).
들깻잎은 상추와 함께 쌈 채소로 많이 활용되는 식재료로 육류와 해산물의 소비가 늘어나고 깻잎의 기능성이 알려지며 쌈용으로 소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잎들깨의 품종 개발을 하여 연중생산이 가능해졌다 (Hyun et al., 2003).
들깻잎에는 β-carotene, caffeic acid, luteolin, quercetin, rosmarinic acid 등의 안토시아닌 계열 색소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Yamazaki and Saito, 2006; Asif, 2012), 특히 caffeic acid 는 폴리페놀계 화합물로서 발암억제제로 작용하고 산화스트레스 유발 및 아플라톡신의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Oh and Lee, 2003). Caffeic acid의 이합체인 rosmarinic acid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인체 노화 및 각종 질병을 예방해주고 항돌연변이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암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Cho, 2003; Oh, 2003; Ryu and Kim, 2008).
들깨 종실은 예로부터 기름을 짜거나 가루로 만들어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으로 체내에서 생성하지 못하여 필수로 섭취해야하는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있어 들기름에 대한 주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들깨 종실에는 α-linolenic acid가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체내에서 DHA와 EPA로 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항암 효과, 뇌의 기능을 촉진하는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radical, ROS)는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에 의해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활성산소는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며, 돌연변이, 세포독성, 심혈관계 질환, 암, 동맥경화, 신경 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등 인체 내 치명적인 문제를 주게 된다. 따라서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Jennings and Barnett, 1988; Fridovich, 1989)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Um et al., 2017; Jeong et al., 2018; Seong et al., 2018).
본 연구는 러시아 지역에서 수집한 들깨 자원을 대상으로 종자의 지방 조성과 들깻잎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유용 지방성분 또는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가치가 높은 우수한 들깨 유전자원을 선발하여 기능성 천연물관련 연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러시아 수집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45 자원과 한국 대조품종 3 자원은 농업유전자원센터 보존자원을 이용하였으며 2017년 전라북도 전주 소재 시험포장에서 표준재배법을 적용하여 재배하여 수확하였다.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건조된 들깻잎 2 g을 고속용매추출장치 ASE-200 (Dionex,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용매는 75% 에탄올, 질소가스 1,200 psi, 70℃ 조건으로 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농축기 HT-4X (American Laboratory Trading Inc., East Lyme, CT, USA)를 이용하여 40℃ 조건에서 농축하여 준비하였다. 조지방 함량 분석에 사용된 시료는 건조된 들깨 종자를 5 g을 분쇄하여 준비하였으며 추출된 조지방을 이용하여 지방산 분석 시료로 이용하였다.
2. 시약
항산화 활성 평가용 시약인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folin–Ciocalteu reagent, potassium ferricyanide [K3Fe(CN)6], phosphate buffer (NaH2PO4-Na2HPO4), trichloroacetic acid (TCA), ferric chloride (FeCl3·6H2O), sodium acetate (CH3COONa), HCl, acetic acid, 2,4,6-tripyridyl-s-triazine (TPTZ) 및 표준품으로 사용한 gallic acid, L-ascorbic acid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위의 모든 시약은 analytical grade로 사용하였다.
3. Caffeic acid 와 rosmarinic acid 함량 측정
들깻잎 시료의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은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Agilent 1290 Infinity II LC, Agilent Technologies Co., Ltd.,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Table 1과 같다.
4. 총 폴리페놀 함량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Waterhouse (2002)의 Folin-Ciocalteu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1,000 ppm 시료 100㎕와 1 N Folin & Ciocalteu’ phenol 100㎕를 반응시킨 후 호일을 덮고 3 분간 실온 보관하였다. 2% Na2CO3 100㎕ 를 넣은 뒤 호일을 덮고 30 분간 실온에서 반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Eon,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750㎚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rl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된 값을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5. DPPH assay
라디칼 제거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DPPH assay는 Piao 등 (2013)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96 well plate에 sample 100㎕ 150 μM DPPH 용액 150㎕를 섞어 호일로 빛 차단 후 30 분간 실온에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Epoch, BIO-TEK, Winooski, VT, USA) 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 equivalent 농도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6. ABTS assay
라디칼 제거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ABTS assay는 Re 등 (1999)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ABTS용액은 7 mM ABTS와 2.45 mM potassim persulphate를 섞어 12 시간 이상 빛 차단 후 냉장보관 하여 준비하였다. 96 well plate에 sample 10㎕와 준비된 ABTS 용액 190㎕를 섞어 호일로 빛 차단 후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Epoch,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734㎚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ascorbic acid equivalent 농도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7.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항산화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FRAP assay는 Benzie 과 Strain (1996)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FRAP용액은 0.1M acetate buffer (pH 3.6), 10 mM tripydyltriazine (TPTZ)/40 mM HCl, 20 mM ferric chloride solution (FeCl3·6H2O)을 10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하고 37℃에 보관하였다. 96 well plate에 시료 10㎕에 준비한 FRAP용액 300㎕를 혼합 후 호일로 빛을 차단하였다. 37℃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Epoch,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93㎚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ascorbic acid equivalent 농도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8. Reducing Power (RP) assay
Yen 과 Chen (1995)의 방법을 참고하여 reducing power assay를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1.5㎖ tube에 시료 60㎕, 0.2M phosphate buffer (pH 6.6) 150㎕, 1% K3Fe(CN)6 150㎕를 넣은 후 50℃에서 20 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10% trichloroacetic acid 150㎕를 넣고 13,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96 well plate에 상층액 100㎕, 3차 증류수 100㎕, 0.1% ferric chloride 20㎕ 분주한 후 호일로 빛을 차단하였다. 상온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Epoch,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700㎚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ascorbic acid equivalent 농도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9. 조지방 함량 측정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건조 분쇄하여 준비한 종자시료 1 g에 헥산을 용매로 하여 SoxtecTM 2043 (FOSS Tecator AB, Hilleroed, Denmark)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0. 지방산 조성
추출한 지방 50㎕를 튜브에 담고 0.5 N NaOH를 가한 후 80℃에서 10 분간 처리한 후, 14% boron trifluoride-methanol 용액을 가하고 헥산과 water 용액을 넣는다. 처리한 용액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황산나트륨 (Na2SO4)에 반응시킨다. 다시 이를 여과시키고 상층액을 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 (QP2010 Ultra,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Silica capillary 컬럼[HP-INNOWAX (Agilent Technologies Inc., Santa Clara, CA, USA), 30m × 0.32㎜ × 0.25㎛]을 이용하여, 주입부 온도는 200℃, flame ionization detector는 250℃에서 사용하였고 질소가스 흐름은 0.6㎖·min−1를 유지하였다. 오븐온도는 분당 4℃씩 250℃까지 상승시키고 250℃에서 10 분간 유지하여 각각의 머무름 시간을 확인하고 각 peak의 면적을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냈다.
11. 통계처리
모든 실험의 결과의 통계분석은 R 프로그램 (www.r-project.org, R i386 3.5.1, Vienna, Austria)를 이용하였으며, p < 0.05의 조건에서 값의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결 과
1.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 함량 측정
UHPLC를 통한 분석 결과 3.2 분에 caffeic acid, 11.3 분에 rosmarinic acid가 검출되었다 (Fig. 1).
Caffeic acid는 0.54 - 1.09㎎·g−1의 범위를 보이고 평균 0.78㎎·g−1을 함유하고 있었다. 한국 대조품종인 안유 (0.73㎎·g−1), 다유 (0.37㎎·g−1)가 러시아 수집자원 평균 함량인 0.78㎎·g−1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caffeic acid를 함유한 자원은 IT226732 (1.09㎎·g−1)으로 한국 대조 품종 중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인 대유 (0.90㎎·g−1)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Rosmarinic acid는 37.70 - 98.50㎎·g−1의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60.75㎎·g−1의 함유량을 보였다. 한국 대조품종인 안유는 30.22㎎·g−1, 다유는 4.47㎎·g−1로 러시아 수집자원 평균 함량인 60.75㎎·g−1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rosamrinic acid를 함유한 자원은 IT274300 (98.50㎎·g−1)으로 한국 대조품종 중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인 대유 (46.38㎎·g−1)의 약 2 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Table 2).
2. 총 폴리페놀 함량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측정
러시아 수집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자원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112.54㎍·gallic acid equivalent (GAE)·㎎−1 dried extract (DE)을 보였으며 88.77 - 148.85㎍·GAE·㎎−1DE의 범위를 보였다. 한국 대조품종 다유의 경우 29.32㎍·GAE·㎎−1DE의 낮은 폴리페놀함량을 보였으며 대유의 경우 107.54㎍·GAE·㎎−1DE의 함량으로 한국 대조품종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러시아 수집자원 평균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안유의 경우 88.21㎍·GAE·㎎−1DE으로 러시아 수집자원의 가장 낮은 TPC 값을 보인 자원 IT220387 (88.77㎍·GAE·㎎−1DE)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Table 2).
3. 항산화 활성 측정
각 수집자원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한국 대조품종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대유는 90.08㎍·ascorbic acid equivalent (ASCE)·㎎−1DE 값을 보였으며 러시아 자원의 평균값은 86.64㎍·ASCE·㎎−1DE로 안유 (76.29㎍·ASCE·㎎-1DE), 다유 (19.26㎍·ASCE·㎎−1DE)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러시아 수집 자원은 68.11 - 94.80㎍·ASCE·㎎−1DE 범위의 값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값을 보인 자원은 IT274300였다 (Table 1).
ABTS의 양이온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러시아 자원의 평균값은 129.52㎍·ASCE·㎎−1DE의 값을 보였으며 86.33 - 190.59㎍·ASCE·㎎−1DE의 넓은 범위를 보였다. 가장 높은 값을 보인 자원은 IT274300이었으며, 한국 대조품종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대유는 129.45㎍·ASCE·㎎−1DE로 러시아 자원의 평균값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Table 2).
FRAP 평가 결과, 한국 대조품종 안유, 다유, 대유의 값은 146.12, 49.15, 129.45㎍·ASCE·㎎−1DE로 러시아 자원의 평균값인 194.70㎍·ASCE·㎎−1DE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러시아 수집 자원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인 자원은 IT274300였으며 114.85 - 326.39㎍·ASCE·㎎−1DE의 넓은 분포를 보였다 (Table 1).
각 자원의 환원력 측정을 위해 RP assay를 진행한 결과 한국 대조품종 대유의 값은 145.25㎍·ASCE·㎎−1DE, 안유는 115.56㎍·ASCE·㎎−1DE, 다유는 7.16㎍·ASCE·㎎−1DE의 값을 보였다. 러시아 자원의 평균값은 152.78㎍·ASCE·㎎−1DE을 보였으며 103.20 - 264.88㎍·ASCE·㎎−1DE의 분포를 보였다 (Table 2).
4. 조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조지방 함량은 평균 38.76%를 보였으며 가장 낮은 값은 28.39% (IT220391), 가장 높은 값은 46.89% (IT220389)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높은 값을 보이는 자원은 46.21% (IT226742), 45.76% (IT226732)의 값으로 뒤를 이었다 (Table 3).
들깨 종자의 지방산 구성은 포화 지방산보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 조성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linolenic acid는 평균 64.18%의 값을 보였으며 59.19 - 67.28%의 범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 높은 함량을 가진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각각 14.24%, 13.58%로 구성되어있고 11.83 - 19.55%, 11.92 - 16.71%의 범위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가진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6.37%, 1.62%의 평균값을 보였으며 5.57 - 7.09%, 1.16 - 2.27%의 범위를 보였다 (Table 3).
고 찰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는 항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Villalva et al., 2018; Choi et al., 2018), 꿀풀과 29 종의 rosmarinic acid 함량을 비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피아민트 (Mentha spicata L.)의 함량이 58.5㎎·g−1 으로 가장 높은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hekarchi et al., 2012). 본 연구결과 들깻잎의 한국품종 중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대유는 46.38㎎·g−1 이였으며, 러시아 수집자원 중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자원은 98.5㎎·g−1 (IT274300)으로 대유의 약 2 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Table 2).
품종별 들깻잎 열수추출물의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생물 100 g 기준으로 품종 보라들깨의 caffeic acid의 함량은 0.87㎎, 동글 2 호의 rosmarinic acid의 함량은 121㎎ 으로 보고되었으며 (Lee et al., 2009), 본 연구 결과를 생물 100 g 기준 함량으로 환산하였을 때 caffeic acid 함량이 높은 러시아 수집 자원의 IT274287 자원은 4.89㎎으로 보라들깨의 약 6 배, rosmarinic acid 함량이 높은 IT274293 자원은 494.59 ㎎으로 동글 2 호의 약 4 배 높은 값을 보였다.
체내 활성산소로 인하여 염증, 암 관련 다양한 질병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포손상을 초래하는 free radical 제거를 위해 마름, 지유, 비타민나무, 잇꽃 등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Han et al., 2016; Jo et al., 2016; Park et al., 2018; Sung et al., 2018).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IT274300는 총폴리페놀 함량 (148.85㎍·GAE·㎎−1DE), DPPH (94.80㎍·ASCE·㎎−1DE), ABTS (190.59㎍·ASCE·㎎−1DE), FRAP (326.39㎍·ASCE·㎎−1DE)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IT274293는 RP (264.88㎍·ASCE·㎎−1DE)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 1, 제 2 주성분으로 전체 변이의 89.5%를 해석 가능하며 제 1 주성분만으로도 76.9%를 해석할 수 있었고 ABTS 값과 총 폴리페놀 함량의 기여도가 높았다 (Table 4).
ABTS는 RP와 0.906*, 총 폴리페놀 함량과 0.902* 의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osmarinic acid와 항산화 활성 평가 값들과의 상관관계는 모두 0.7이 넘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Table 5).
Rosmarinic acid의 성분이 높게 함유된 자원 (IT274300)은 RP를 제외한 나머지 항산화 활성 평가 값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P에서는 IT274293 자원이 264.88㎍·ASCE·㎎−1D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러시아 수집 들깻잎의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 함량 측정값과 항산화활성 평가 값의 군집분석 결과 3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졌으며 그룹 I 은 높은 caffeic acid (0.86㎎·g−1), rosmarinic acid (83.43㎎·g−1) 성분, 높은 항산화 활성 값을 보이며 총 9개의 자원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그룹 II (18 자원), 그룹 III (18 자원) 순으로 높은 성분, 항산화 활성 값을 보였다 (Table 6, Fig. 2).
상대 항산화능 지수 결과, 한국 대조품종 대유는 0.06으로 22 순위, 안유는 –0.76으로 42 순위, 다유는 –3.78로 48 순위를 보였으며 러시아 수집자원 중 상위 3 자원 IT274300, IT226732, IT274293은 2.12, 1.56, 1.52로 한국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높은 상대 항산화능 지수를 보였다 (Fig. 3). 위의 상위 3 자원은 rosmarinic acid 함량도 높은 자원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한국 대조품종인 다유 (47.71%)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러시아 자원 중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자원은 46.89% (IT220389)로 한국 대조품종인 안유 (45.56%), 대유 (35.66%)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alpha linolenic acid의 효과로 신경세포사멸을 보호하거나 심근 세포 내에서 세포 자멸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Lee et al., 2018; Ganguly et al., 2018), 금번 러시아 수집 들깨 지방산 성분 중 linolenic acid가 평균 64.18%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러시아 자원의 평균 함량이 3 개의 한국 대조품종 자원 안유 (60.80%), 다유 (59.32%), 대유 (59.74%)의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자원은 67.28% (IT235818) 그 다음 높은 함량을 보인 자원은 67.17% (IT235820) 값을 보였다.
다른 조지방 성분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경우, 평균 함량값은 한국 대조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IT220391과 IT274286은 각각 19.55%, 16.71%로 한국 대조품종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Table 3).
조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제 1, 제 2 주성분으로 전체 변이의 74.4%를 해석 가능하며 이를 설명하는데 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기여도가 높았다 (Table 7). linolenic acid와 oleic acid는 -0.825로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almitic acid와 조지방 성분 또한 -0.747의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Table 8). 군집분석 결과 3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으며, 그룹 III (28 자원)은 linolenic acid 성분이 65.37%로 다른 그룹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I (5 자원)은 oleic acid 성분이 17.16%로 다른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Table 9).
본 연구 결과, 러시아 수집 자원 중 한국 대조품종 안유, 다유, 대유와 비교하여 rosmarinic acid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IT274300, IT226732, IT274293과 linolenic acid 함량이 높은 IT235818, IT235820자원은 기능성 들깨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항산화성분 고함량 유용자원을 선발 활용함으로서 기능성 성분 확보에 투자되는 비용절감과 시장활성화가 기대된다. 향후, 국가보존 들깨 자원에 대한 대량평가를 수행하여 보다 양질의 들깨 자원을 선발하여 관련연구자들에게 정보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과제번호: PJ012493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
- Asif, M., (2012), Phytochemical study of polyphenols in Perilla Frutescens as an antioxidant, Avicenna Journal of Phytomedicine, 2, p169-178.
- Benzie, IFF, and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ytical Biochemistry, 239, p70-76. [https://doi.org/10.1006/abio.1996.0292]
- Cho, MS., (2003),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ournal Food Culture, 18, p601-612.
- Choi, HG, Tran, PT, Lee, JH, Min, BS, and Kim, JA., (201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ffe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41, p64-70. [https://doi.org/10.1007/s12272-017-0983-1]
-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paramagnetic ga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4, p7761-7764.
- Ganguly, R, Hasanally, D, Stamenkovic, A, Maddaford, TG, Chaudhary, R, Pierce, GN, and Ravandi, A., (2018), Alpha linolenic acid decreases apoptosis and oxidized phospholipids in cardiomyocytes during ischemia/reperfusion, Molecular and Cellular Biochemistry, 437, p163-175. [https://doi.org/10.1007/s11010-017-3104-z]
- Han, HM, Kwon, YS, and Kim, MJ., (2016),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ater chestnut(Trapa japonica Flerow),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 p14-20. [https://doi.org/10.7783/kjmcs.2016.24.1.14]
- Hong, YP, Kim, SY, and Choi, WY., (1986),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8, p255-258.
- Hyun, KW, Kim, JH, Song, KJ, Lee, JB, Jang, JH, Kim, YS, and Lee, JS., (2003),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 p975-979.
- Jennings, PE, and Barnett, AH., (1988), New approaches to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iabetic microangiopathy, Diabetic Medicine, 5, p111-117. [https://doi.org/10.1111/j.1464-5491.1988.tb00955.x]
- Jeong, HS, Jeong, JT, Lee, JH, Park, CG, Choi, JH, Jang, GY, Kim, JW, Chang, JK, Kim, DH, and Lee, SE., (2018),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tractylodes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 roo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 p391-400.
- Jo, JH, Bae, EY, Lee, TK, Kim, MH, Lee, SW, Kim, BS, and Lim, CH., (201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in diabetic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 p152-158. [https://doi.org/10.7783/kjmcs.2016.24.2.152]
- Lee, AY, Choi, JM, Lee, MH, Lee, JM, Lee, S, and Cho, EJ., (2018), Protective effects of perilla oil and alpha linolenic acid on SH-SY5Y neuronal cell death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2, p93-100. [https://doi.org/10.4162/nrp.2018.12.2.93]
- Lee, HS, Lee, HA, Hong, CO, Yang, SY, Hong, SY, Park, SY, Lee, HJ, and Lee, KW., (2009), Quantifica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1, p302-306.
- Oh, SI, and Lee, M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 p1344-1350.
- Park, JH, Lee, CO, Yoo, JH, An, NTL, Yoo, NH, and Kim, MJ., (2018), Antioxidative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 and juice powder from Hippophae rhamnoides L. against nitric oxide and elastas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 p119-126.
- Piao, XM, Jang, EK, Chung, JW, Lee, GA, Lee, HS, Sung, JS, Jeon, YA, Lee, JR, Kim, YG, and Lee, SY., (2013), Variation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in tomato stems and leaves,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1, p366-373. [https://doi.org/10.9787/pbb.2013.1.4.366]
-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 p1231-1237. [https://doi.org/10.1016/s0891-5849(98)00315-3]
- Ryu, HS, and Kim, HS., (2008), Studies on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mixture of pine needles, Sedum sarmentosum bunge, hijkiaorme, buckwheat, and perilla leaves on the immune function activation,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1, p269-274.
- Seong, ES, Kim, SK, Lee, JW, Choi, SH, Yoo, JH, Lim, JD, Na, JK, and Yu, CY., (2018),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byproducts of Abies holophylla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 p134-140.
- Shekarchi, M, Hajimehdipoor, H, Saeidnia, S, Gohari, AR, and Hamedani, MP., (2012), Comparative study of rosmarinic acid content in some plants of Labiatae family, Pharmacognosy Magazine, 8, p37-41. [https://doi.org/10.4103/0973-1296.93316]
- Sung, JS, Jeong, YJ, Kim, DJ, Assefa, AD, Jeon, YA, Hur, OS, Ro, NY, Ko, HC, Ok, HC, Rhee, JH, Lee, MC, and Baek, HJ., (2018), Oi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afflower germplasm collected from east asi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 p32-41.
- Um, JN, Min, JW, Joo, KS, and Kang, HC., (2017), Antioxidant, anti-wrinkl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mixture extracts of Angelica gigas, Paeonia lactiflora, Rehmannia chinensis and Cnidium officinal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5, p152-159. [https://doi.org/10.7783/kjmcs.2017.25.3.152]
- Villalva, M, Jaime, L, Aguado, E, Nieto, JA, Reglero, G, and Santoyo, S., (201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basolateral fraction of caco-2 cells exposed to a rosmarinic acid enriched extrac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6, p1167-1174. [https://doi.org/10.1021/acs.jafc.7b06008]
- Waterhouse, AL., (2002),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s, In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I1.1.1-I1.1.7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p1-4. [https://doi.org/10.1002/0471142913.faa0101s06]
- Yamazaki, M, and Saito, K.,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 5-O-glucosyltransferase in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by differential display, Differential Display Methods and Protocols, 317, p255-266.
- Yen, GC, and Chen, HY.,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3, p27-32. [https://doi.org/10.1021/jf00049a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