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질비료 시용이 삽주의 생육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roo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contain atractylone, which is used to suppress appetite and indigestion caused by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A. macrocephala with organic fertilizer.
When organic fertilizer was applied basally, the average yield of 10 a was 184.6 ㎏ in the HA (Hwanggeumjidae, organic material mix), 171.3 ㎏ in the GG (Gyunbaeyangchegreen, bacterial cuture filtrate) and 175.0 ㎏ in the CF (Customary fertilization, control) each other in practice of CF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tractylenolide I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HA (0.036%) than the GG (0.034%) or CF (0.023%).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organic fertilzer, 10 a yield ws the most common of 203.0 ㎏ at 2.0 times of the organic 1 (HA), conventional fertilization of 134.0 ㎏ and 173.0 ㎏ of no applic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rganic fertilizer 1 was 1.5 to 2.0 times, organic fertilizer was 2 to 1.5 times that were most suitab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HA and GG are the most suitable for the organic cultivation of A. macrocephala. The content of atractylone I was highest under the HA treatment and lowest under the CU (Chamjoa, oil cake), TG (Totogreen, plant oil cake) and HG (Heuksalgreen, Castor oil cake) treatment.
Keywords:
Atractylodes macrocephala, Organic fertilizer, Yield서 언
삽주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는 뿌리줄기를 사용하는 한약재로 정유에 포함된 주성분인 atractylone에 의 해 특유의 냄새가 있으며, 위장기능의 감퇴에 따른 식욕부진, 소화불량, 전신권태감, 만성하치, 자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Shibata, 1957). 기원식물은 삽주 또는 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로 생약규격집에 수재 되어 있다. 국내에 자생종으로는 A. japonica, A. lancea, A. lyata와 A. onata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이는 A. ovata의 이명으로 식물명으로는 삽주이다. 국 내 자생 삽주는 대부분 야생채취에 의존하며 재배 기간이 길 며 수량성이 낮은데 반하여, 백출로 알려진 중국 도입종 마크 로케팔라삽주 혹은 큰꽃삽주 (A. macrocephala)는 재배기간이 짧으며 수량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o et al., 2001; Chung and Kim, 2001). 삽주의 재배지는 충청북도 지 역이 전국의 60% 이상으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다 (MAFRA, 2015).
최근 수입 한약재에 대한 농약 잔류 독성 및 중금속 등 안 전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생산성 위주에서 품질과 안전성이 강 화된 환경 친화적인 농업기술을 지향하는 추세이다. 유기질 비 료 시용은 토양의 영양분의 균형 공급, 유용 미생물의 증대, 토양반응의 교정 및 입단화 촉진, 유효인산의 고정 억제 등으 로 토양의 이화학성을 개량할 수 있다 (Ham et al., 1993). 이와 같은 방법은 생산성은 떨어지지만 생산된 산물의 약리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Choi et al., 1989; Kim et al., 1998).
약용작물의 유기재배기술 개발 연구는 1단계로 2008 - 2010 년에 수행되었으며 당귀, 황기, 구기자, 오미자, 황금 유기재배 기술이 개발되었다. 최근 값이 싼 수입한약재에 대한 농약 잔 류독성 및 중금속 등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생산성 위주 에서 품질과 안전성이 강화된 환경 친화적인 농업기술을 지향 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약용작물의 유기재배기술 연구는 시작 하는 단계로 일부 농가에서 관행대로 일부 화학비료와 퇴비, 가축분뇨 등의 유기자원을 이용하여 약용작물을 재배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며 약용작물에 대한 유기재배기술의 개발 및 농가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삽주의 재배와 관련하여서는 화 기제거가 생육 및 정유 함량에 미치는 영향 (Kim et al., 2001), 파종방법과 종근중에 따른 생육과 수량 (Kim et al., 2004), 종자 전처리 및 환경조절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Jeon et al., 2013), 상대광도별 유묘의 생장 및 뿌리발달 (Song et al., 2014) 등 일반적인 생육과 재배에 관한 연구만 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용작물 삽주 재배 시 유기질 비료 종류에 따른 수량성을 검정하고 유효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유기재배의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유기질 비료의 종류에 따른 삽주의 생육 및 수량 특성
종류를 달리한 유기질 비료의 시비가 삽주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 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는 국립 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약용작물과에서 보유하고 있는 삽 주 종자를 이용하였다. 종자는 2월 하순에 200공 연결육묘상 자 (Bumnong Co., Ltd., Jeongeup, Korea)에 파종하고 온실 에서 2개월 동안 육묘하여 5월 상순에 정식하였다. 정식은 이 랑 90㎝와 고랑 60㎝ 시험구에, 재식밀도 30 × 15㎝ 간격으 로 식재하였다. 시험포장의 관행시비는 성분량으로 N : P2O5: K2O 성분이 7 : 4 : 3㎏/10 a의 양을 정식하기 2주 전에 시험포장에 시용하고 경운 정지 하였다. 기타 재배법은 농촌 진흥청 삽주 표준재배법에 준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유기질 비 료는 농촌진흥청에서 친환경 농자재로 인증한 입상혼합유박 (CU, 참조아유박, DongbuHitek, Bucheon, Korea), 혼합유기질 (HA, 황금지대, Korea Bio Co., Ltd., Hwaseong, Korea), 식 물성유박 (TG, 토토그린, Pungnong Co., Ltd., Seoul, Korea), 아주까리유박 (HG, 흙살골드, KG Chemical, Ulsan, Korea)와 균배양체 (CG, 균배양체그린, Heuksalim Institute Co., Goesan, Korea)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구로 관행시비 (CF) 와 무시비 (NF) 시험구를 두어 비교하였다. 친환경 유기질비 료에 함유되어 있는 N : P2O5: K2O의 성분량은 다음과 같다 (Table 1).
초장, 엽수, 경경, 생체중, 건물중 등 지상부와 근장, 근경, 근중 등 지하부 생육 특성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 의 시비 전 토양은 pH가 6.8로 약산성 토양이었으며 질산태 질소,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과 유기물함량을 제시하였다 (Table 2).
2. 삽주 재배 시 유기질 비료의 기비 시용량 설정
삽주 재배 시 유기질 비료의 적정 시비량을 알아보기 위하 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종자, 식재시기, 재식밀 도와 포장의 관행시비는 ‘유기질비료의 종류에 따른 삽주의 생 육 및 수량 특성’에 제시한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되었다. 유 기질 비료는 혼합유기물과 균배양체를 각각 유기질비료의 질 소함량을 환산하여 삽주의 질소 적정시비량의 적량 (N100), 1.5 배 (N150), 2.0배 (N200)를 처리하였다. 대조구로는 관행시비구 와 무시비구를 두어 비교하였다. 초장, 엽수, 경경, 생체중, 건 물중 등 지상부와 근장, 근경, 근중 등 지하부 생육 특성과 수량을 당해년도 10월 말에 조사하였다.
3. 유효 약리 성분 함량 분석
유기질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을 달리한 삽주의 뿌리에 함 유된 유효 약리성분 atractylenolide I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확한 뿌리를 건조한 후 분쇄기 (WF2211214, Warning Commercial, Torrington, CT, USA)로 균질하게 파쇄하여 80 mesh 체를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시료 0.5 g을 취하여 50% methanol 50㎖을 넣고 60분간 초음파 추출기 (CPX 5800, Branson Co., CT, USA)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모아 100㎖ 플라스크에 담고 methanol로 채워 정확히 100㎖로 맞 추었다. 이 액을 0.45㎛ 필터로 여과하고 20㎕을 취하여 검 액으로 하였다. 표준액 제조는 표준품 (atractylenolide I) 10㎎을 취하여 100㎖ 플라스크에 ethanol 100㎖로 채워 용 해하였다. 이 액을 5, 10, 20, 40, 80㎖을 정확히 취하여 각 각의 100㎖ 플라스크에 넣고 ethanol로 100㎖를 채웠다. 다 음 이 용액을 0.45㎛ 필터로 여과하고 20㎕를 취하여 표준 액으로 사용하였다. 함량 분석은 2998 Photodiode array (PDA) detector for alliance HPLC system (Waters, Milford, MA, USA)을 이용하였다. 컬럼은 Sun fire C18 (3.5㎛, 4.6 × 150㎜, Waters, Milford, MA, USA)을 이용하였으며, 검 출기는 UV 230㎚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물 (solvent A)과 아세토나이트릴 (solvent B)을 각각 20%와 80%로 되도록 조 절하여 구배용매 조건 (gradient mode)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속은 1.0㎖• min−1로 고정하였으며, 주입 부피는 20㎕로 하였다.
4.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유기질 비료 시용 전후의 토양의 이화학성을 분석은 풍건 후 2㎜ 체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pH는 토양과 물을 1 : 5 (w/v)의 비율로 진탕교반 후 pH meter (S20 sevenEasy™, Mettler Toledo, Columbus, OH, USA)로 측정하였다. 질산태 질소는 2M potassium chloride (KCI)로 침출 후 자동질소분 석장치를 이용하여 증류한 후 0.01 N 황산으로 적정하여 산출 하였다. 유효인산은 Kuo (1996)의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치 환성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과 칼슘은 1 N ammonium acetate (CH3COONH4, pH 7.0) 완충액으로 침출하여 유도결합플라즈 마 분석기 (ICP, MX2, GBC Scientific Eequipment, Braeside, Australi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기물 함량은 Tyurin (Schollenberger, 1927)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5.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program (SAS Enterprise Guide 4.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난괴법 실험 에 대한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처리구 간 유의성 분석을 위 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 p < 0.05) 분석 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유기질 비료의 종류에 따른 삽주의 생육 및 수량 특성
유기질 비료의 종류를 입상혼합유박 (CU), 혼합유기질 (HA), 식물성유박 (TG), 아주까리유박 (HG)과 균배양체 (GG) 를 각각 시비하여 관행시비 (CF)와 무시비 (NF) 대비 삽주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Table 3). 지상부 생육은 혼 합유기질 시용 시 초장, 경수, 분지수, 엽수와 지상부 건중이 가장 높은 수준의 값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경경은 관행시비 와 무시비가 19.8과 19.9㎜로 유기질 비료의 시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으로 조사되었다. 입상혼합유박 (CU), 혼 합유기질 (HA)과 식물성유박 (TG) 처리시 초장 77.2 - 80.1㎝, 엽수 24.8 - 25.5개와 건근중 34.2 - 35.9 g으로 유의적 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내었다. 반면에 아주까리유박 (HG)과 균배양체 (GG)는 다른 유기질 비료의 시용에 비하여 지상부 생육이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혼합유기질 (HA) 시용 시 수량이 184.6㎏/10 a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다음으로는 균배양체 (GG), 관행시비 (CF) >입상혼합유박 (CU), 식물성유박 (TG)) >아주까리유박 (HG) >무시비 (NF) 순으로 수량이 조 사되었다. 관행시비대비 유기질 비료의 시용은 혼합유기질 (HA) 시용 시 증수되었으며 균배양체 (GG) 시용 시 같은 수 준을 조사되었다. 이외에 입상혼합유박 (CU), 식물성유박 (TG), 아주까리유박 (HG)의 시용은 무시비 (NF) 대비 수량이 증수되었지만, 관행시비 (CF)와 비교하였을 때 수량이 낮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된 혼합유기질 (HA) 시용 시 근장과 생근중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 량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균배양체 (GG) 시비시 근장, 생근 중, 생세근중, 건근중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약용식물 중 뿌리를 이용하는 작물인 맥문동은 유기물함량 이 많은 사양토나 양토가 적합하지만, 너무 비옥한 땅에 심거 나 질소질 비료의 과용은 잎만 무성하게 자라고 괴근에 비대 생장에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07). 이와 같이 뿌리 작물의 생육촉진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시비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유기질 비료의 종류를 달리하여 시용하였을 때 유효성분인 atractylenolide I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ig. 1). 혼합유기질 (HA)의 시용 시 0.036%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 다. 다음으로는 균배양체에서 0.034%로 무시비 (NF)와 관행 시비 (CF)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입상혼 합유박 (CU), 식물성유박 (TG)과 아주까리유박 (HG)의 시용 은 관행시비 (CF)와 무시비 (NF) 대비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 었다. 유기질 비료의 시용 시 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난 혼합유기질 (HA) 시비는 유효성분의 함량도 높아 삽주 재 배 시 시용에 적절한 것으로 보여진다. 수량이 관행시비와 같 은 수준으로 나타난 균배양체 (GG) 시비의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이 관행대비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유기재배 시 함께 고 려될 수 있을 것이다.
약용작물의 유기질 비료 시용에 관한 연구에서 황금, 패모, 작약, 쇠무릎, 맥문동재배에서 무기질 비료 보다 유기질 비료 시용에서 건근중 및 상품 수량이 11 - 34%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다 (Chang et al., 1990; Choi et al., 1989; Chung et al., 1993; Kim et al., 1998; Kim et al., 2007). 그리고 유 기물 시용을 통해 지상부 생육과 지하부 생장량의 증대로 질 소, 인산, 가리 등 무기 성분 함량과 뿌리의 약효성분이 높아 져 뿌리 수량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Chang et al., 1990; Chung et al., 1993; Kim et al., 1997). 또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는 약용작물인 도라지 재 배 시 유기질 비료의 시용은 세근의 발달이 촉진되고 사포닌 함량이 높아져서 수확량과 약리효능이 증가된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Jeon et al., 2016). 이상의 결과에서 각 작물 재배 에 적합한 유기질 비료 시용은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을 유리 하게 하여 수량과 유효 성분을 증가시킨다고 판단된다.
3. 삽주 기비용 유기질 비료 시용량 설정
유기재배 시 기비용 유기질비료의 시용량을 설정하기 위하 여 혼합유기질 단용처리와 혼합유기질과 균배양체 혼용처리를 정량 (1배), 1.5배와 2배로 각각 시비하여 생장특성, 수량과 함량변이를 조사하였다 (Table 5). 시용량 설정은 유기질 비료 의 종류를 달리하여 시비하였을 때 수량과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혼합유기질 (HA)을 단용 혹은 균배양체 (GG)와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혼합유기질 단용 혹은 균배양체 를 혼용하여 농도를 달리하여 시비하였을 때 지상부 건근중은 관행시비 및 무시비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혼 합유기질을 2배로 시용 시 초장, 경경과 분지수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지상부 건근중의 차이는 나타나 지 않았다. 혼합유기질 단용처리시 시용량을 증대시켰을 때 초 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혼합유기질과 균배양 체 병용처리시 시용량 증가와 초장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으며, 관행시비 대비 초장이 낮게 조사되었다.
혼합유기질을 단용하여 2배로 시용하였을 때 수량은 203㎏/ 10 a로 다른 시비구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혼합유기질 정량과 1.5배 단용시비와 혼합유기질 과 균배양체 혼용처리구 1.5배 시비구로 조사되었다 (Table 6). 혼합유기질 단용과 병용처리는 관행시비 대비 수량 증수가 조 사되었으나, 무시비 대비하여 혼합유기질과 균배양체를 병용 하여 정량시비시는 수량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 량이 높게 나타난 혼합유기질 2배 시용 시 근장과 건근경중이 기질 비료의 시비는 근장, 건근경중과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삽주의 주요 성분인 atractylenolide I의 함량은 수량이 가장 높게 조사된 혼합유기질 2배 시용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 을 나타내었다 (Fig. 2). 혼합유기질 단용시비 시 균배양체와 혼용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용 혹은 혼용처리 는 관행시비와 무시비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두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유기질 비료의 시용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유기질 비료의 종류를 달리하였을 때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을 조사하였다 (Table 7). 유기질 비료를 시비하였을 때 생산 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혼합유기질 (HA)와 균배양체 (GC) 시용 시 토양 pH는 각각 6.5와 7.1로 나타났다. 균배양체 (GC) 시용 시에는 무처리구와 같은 수준인 pH 7.1로 조사되 어 중성토양으로 조사되었다. 유기질 비료의 시용은 식물성유 박 (TG)을 제외한 모든 시비처리구에서 유기물함량이 무시비 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의 관행시비 (CF) 는 유기질 비료에 비하여 칼륨와 인의 함량이 2배 정도 높게 시비되었으며, 이는 시비 후 토양의 치환성 인과 칼륨의 함량 을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질산태질소의 경우 질산 의 시비량과 시비 후 토양의 함량과의 연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09302016)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Chang, SM, Park, BY, Shin, YB, Choi, J, The application effects fertilizer on the root yield and qual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990), 23, p44-48.
- Cho, JH, Kim, YW, Park, CG, Bang, KH, Seong, NS, Occurrence of phytophthora root rot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in field contition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1), 9, p211-219.
- Choi, IS, Song, IK, Kim, JH, Cho, JT, Hong, YK, Park, SK, Park, JK,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tuber yield in Rehmannia glutinosa, Research report of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eongju Korea, (1989), p183-192.
- Chung, GY, Kim, MS, Anatomical study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za Koidz,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01), 4, p188-195.
- Chung, SH, Kim, KJ, Suh, DH, Lee, KS, Choi, BS,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in Paeonia lactiflora, Research Report of Gyeo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Daegu Korea, (1993), p200-209.
- Ham, SG, Lee, JJ, Kim, IS,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orean Lawngrass(Zoysia matrella L Merr), Weed and Turfgrass Science, (1993), 7, p61-66.
- Jeon, KS, Song, KS, Yoon, JH, Kim, CH, Kim, JJ,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environment controls on germination of Atracylodes japonica see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394-400. [https://doi.org/10.7783/kjmcs.2013.21.5.394]
- Jeon, SH, No, IR, Kim, YG, Cho, YS,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growth and medicinal ingredi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016), 24, p511-524. [https://doi.org/10.11625/kjoa.2016.24.3.511]
- Kim, MS, Chung, BJ, Park, GC, Park, TD, Kim, SC, Shim, JH,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of Achyranthes japonica 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98), 6, p131-136.
- Kim, MS, Park, GC, Chung, BJ, Park, TD, Kim, HK, Kim, HW, Park, IJ, Kim, CC, Sim, JH,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application on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s in Bupleurum falcatum L,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1997), 10, p175-182.
- Kim, SM, Lee, CY, Kim, YC, Choi, IS, Min, KK, Seong, JD,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in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7), 15, p148-151.
- Kim, SY, Kwon, OH, Cho, JH, Growth and yield by the different seeding methods and cultivating root weight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04), 17, p183-188.
- Kim, SY, Kwon, OH, Cho, JH, Lim, JH, Effects of flower removal on growth and content of essential oil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01), 14, p152-156.
- Kuo, S, Sparks, DL,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Phosphorus, SSSA book series No. 5, (1996),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Fitchburg. WI, USA, p869-919.
-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The actual putout of special crops, (20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12.
- Schollenberger, CJ, A rapid approximate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ence, (1927), 24, p65-68. [https://doi.org/10.1097/00010694-192707000-00008]
- Shibata, K, A cyclopedia of useful plants and plant products, (1957), The Hokuryukan Co., Ltd, Tokyo, Japan, p54.
- Song, KS, Jeon, KS, Yoon, JH, Kim, CH, Park, YB, Kim, JJ, Growth and roo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Atractylodes japonica seedlings by different relative light intens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4), 22, p154-159. [https://doi.org/10.7783/kjmcs.2014.22.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