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ARTICL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6, No. 2, pp.119-126
ISSN: 1225-9306 (Print) 2288-018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8
Received 6 Feb 2018 Revised 21 Feb 2018 Reviewed 28 Mar 2018 Reviewed 4 Apr 2018 Accepted 5 Apr 2018
DOI: https://doi.org/10.7783/KJMCS.2018.26.2.119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착즙 분말의 항산화 활성 및 Nitric Oxide 생성과 Elastase에 대한 저해활성

박주희* ; 이찬옥** ; 유지혜** ; NguyenThi Lan An*** ; 유남호*** ; 김명조***,
*삼성생약(주)부설 바이오생명공학연구소
**강원대학교 한방바이오연구소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과
Antioxidative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 and Juice Powder from Hippophae rhamnoides L. against Nitric Oxide and Elastase Production
Ju Hee Park* ; Chan Ok Lee** ; Ji Hye Yoo** ; Nguyen Thi Lan An*** ; Nam Ho Yoo*** ; Myong Jo Kim***,
*Institute of Samsung Herb Medicine, Chuncheon 24232, Korea.
**Bioherb Research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3-250-6413E-mail) kimmjo@kangwon.ac.kr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The flowering plant Hippophae rhamnoides L. has been used for many studies on fruit or leaf ex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a new cosmetic material from H. rhamnoides fruits and leaves that have by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rinkle improvement activities.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bilities of H. rhamnoides extracts, including of a water-soluble fruit powder (FW), a fatsoluble fruit powder (FF), a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by-product (BS), and a mixture of leaf and fruit (MIX), were investigated in vitro. A DPPH radical assay for antioxidant activity was performed for these fractions alongside assay to evaluate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TPC and TFC). As expected, the MIX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50 = 10.27μg/ml), and the TPC and TFC also were highest in MIX (225.7 ㎎·GAE/g, and 25.18 ㎎·QE/g, respectively).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was estim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an over 75% decrease of NO production in FF and MIX. In other assays, the highest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FW.

Conclusion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H. rhamnoides extracts have a high potential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wrinkle activities. H. rhamnoides products are suggested to be applied as the functional materials of cosmetic ingredients.

Keywords:

Hippophae rhamnoides, Antioxidative Activities,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Functional Materials, Nitric Oxide Inhibitory Activity

서 언

천연을 지향하는 추세에 따라 많은 천연소재, 특히 식물성 추출물이 기능성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식물성추 출물은 피부생리활성 효능이 알려지면서 최근 화장품소재로 부각되고 있으며 (Ann et al., 2004), 피부노화, 보습, 미백활 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부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적은 양으로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소재의 발굴에 많은 관 심이 집중되고 있다 (Jung and Choe, 2014).

환경오염, 미생물, 화학 산화제 및 자외선 등 피부가 외부적 요인에 노출되면서 노화의 주범인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Rahimuddin et al., 2007). 특히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피부는 반응성이 큰 활성산소종이 생성되어 피부노화를 촉진 시키며, 염증유발, 홍조, 색소 침착 등 피부과 질환을 유발하 게된다 (Imokawa, 2009; Um et al., 2017b).

최근 이러한 활성산소종에 의한 손상이 항산화제에 의해 억 제되는 것이 알려지면서 천연물로부터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을 가지는 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Ko et al., 2017). 특히 식물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페놀성화합 물은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이 활성산소를 소거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산화, 항염증, 항암 활성 등 다양한 생 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Rahman et al., 2006).

북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인 비타민나무 (Hippophae rhamnoides L.)는 산자나무라고도 불리며, 항산화, 면역조절, 피부보호, 인플루엔자 감염 및 심장병 예방 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며, 화학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flavonoid 배당 체, carotenoid, β-sitosterol 및 ursolic acid 등이 알려져 있고 (Maheshwari et al., 2011; Wani et al., 2013; Yang et al., 2013; Jeong et al., 2015), 열매 및 종자 오일에는 palmit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Yang and Kallo, 2001).

또한 열매로부터 추출된 오일은 피부개선, 항염증효과 및 광 보호효과를 나타내며 (Bat and Tannert, 1993), 잎의 물 추출 물이 화상으로 생긴 상처에 높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상처부 위의 콜라겐 합성과 안정화를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Upadhyay et al., 2011). 또한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비 타민나무 종자오일 역시 높은 상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 로 보고하였다 (Upadhyay et al., 2009; Kim et al., 2010).

최근 비타민나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며 많은 피부효능 연 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열매와 잎 추출물에 한정되어 있 어,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열매와 잎을 이용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효능을 평가하 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비타민나무 (Hippophae rhamnoides L.)의 열매와 잎은 강 원비타민나무영농조합 (Chuncheon, Korea) 농장에서 7 월에 수확한 것을 제공받아 사용하였고, 착즙기 (galaxy premium juicer GJ-120, NUC Co., Ltd., Daegu, Korea)로 비타민나무 열매를 착즙한 후 inline-mixer [IM002 (YSY), K&S Co., Ltd., Hwaseong, Korea]를 이용하여 균질화 시키고, micro filter (1㎛)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이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여과액을 수용성 (FW)과 지용성 (FF)분획으로 나누고, 동결건 조 (Ilshin Biobase Co., Ltd., Seoul, Korea.)를 실시하여 각각 3.86과 5.73%의 수율로 분말 (juice powder)을 획득하였다.

또한 비타민나무열매를 착즙하고 남은 부산물을 동결 건조 하여 분말화한 후에 초임계추출장치 (SFE-2&5LF-2-FMC-50, Waters, Milford, MA, USA)에 넣어 total flow rate (CO2 flow rate, co-solvent rate)를 50 g/min으로 흘려주었고, cosolvent로는 ethyl alcohol (Daejung Chemicals and Metals Co., Ltd., Siheung, Korea)을 사용하였다. 추출온도는 60℃, 압력은 350 bar 조건에서 3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4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5.26%의 수율로 초임 계 추출물 (BS)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잎과 열매 혼합처리 시 높은 활성을 나타낸 연구 (Han et al., 2009)를 참고하여 진행한 선행연구결과, 높은 DPPH 소거활성을 나타낸 비타민나무 잎과 열매 혼합분말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data not shown).

건조된 비타민나무 잎은 70% EtOH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 하였고 열매는 착즙하여, 여과한 후 동결건조 하였다. 28.19% 수율의 건조된 잎 분말과 9.59% 수율의 열매 착즙 분말을 6 : 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MIX)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총 phenol성 화합물 함량

총 phenol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 방법을 변형하 여 측정하였다 (Singleton and Rossi, 1965).

각 시료 0.1㎖ 를 0.05㎖의 Folin-Ciocalteu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시약과 혼합하고, 5 분 반응 후에 20%의 탄산나트륨 0.3㎖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5 분 동안 안정화시킨 후 증류수 1㎖를 첨가하여 72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총 phenol성 화합물함량은 표준물질로 사용된 gall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의 표준검량 곡선을 이용하여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나타내었다.

3. 총 flavonoid 함량

총 flavonoid 함량은 Moreno 등 (2000)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80% ethanol로 희석한 시료 0.1㎖ 에 10% aluminium nitrate (Yakuri Pure Chemicals Co., Ltd., Osaka, Japan) 0.02㎖, 1M potassium acetate (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 0.02㎖ 와 80% ethanol 0.86㎖을 가하여 실 온에서 40 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15㎚에서 흡광 도를 측정 하였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표준물질인 quercetin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검량곡 선을 이용하여 정량한 후 quercetin equivalents (QE)로 나타 내었다.

4. DPPH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Blois (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시료 0.1㎖를 0.15 mM의 DPPH (2,2- diphenyl-1-picrylhydrazyl, Sigma-Aldrich Co., St. Louis,MO, USA) 0.1㎖와 혼합하여 상온, 암조건에서 30 분간 반 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 (V530, Jasco In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에 따른 radical 소거능의 기울기를 구하여 50%가 되는 시점의 시료의 농도를 IC50 (㎍/㎖)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 으로는 ascorb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5. 환원력 측정

환원력은 Oyaizu (1986)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시료 0.1㎖에 0.2M의 sodium phosphate buffer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1㎖ (pH 6.6)와 1% potassium ferricyanid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1㎖를 혼합하여 50℃에서 20 분 동 안 반응시킨 후, 10% trichloroacetic acid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Osaka, Japan) 0.1㎖를 첨가하여 동량의 증류수와 0.1% ferric chlorid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05㎖를 첨가하여 700㎚에서 흡광 도를 측정하였다.

6. 세포배양 및 세포독성 측정

RAW264.7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 (Seoul, Korea)에서 구입 하였으며, 세포배양에 사용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in/streptomycin solution (PS),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는 HyClone사 (Logan, UT, USA)로부터 구입하 여 사용하였다. 10% FBS와 1% 항생제 (PS, 100 U/㎖)가 첨 가 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 였다.

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은 96 well plate에 RAW264.7 세포 를 1 × 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와 시료가 첨가된 배지에서 24 시간 배양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 (PBS)에 녹인 MTT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0.5㎎/㎖의 농도로 처리하여 4 시간 더 배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에 100㎕의 DMSO 를 처리하여 ELISA (Model 680, 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osmann, 1983).

7. Nitric oxide (NO) 생성율

Nitrite oxide (NO)생성은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griess reagent에 사용되는 모든 시약은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사에서 구입하였다.

96 well plate에 RAW264.7 세포를 1 × 105 cells/well로 분 주하여 24 시간동안 배양하고, LPS와 시료가 첨가된 배지로 교체하여 24 시간 배양 후, 상등액 50㎕와 griess reagent (A reagent; 1% sulfanilamide, B reagent; 5% phosphoric acid에 녹인 0.1%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50㎕를 혼합하여 10 분간 반응 시킨 후 540㎚에서 흡광도 를 측정하였다 (Green, 1982).

8. Elastase 저해활성

Elastase 저해활성은 Cannell 등 (1988)의 방법에 따라 측정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되는 모든 시약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사에서 구입하였다.

각 시료를 일정농도가 되도록 조제하고, 10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 (0.25 U/㎖) 용액을 첨가하여, 10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기질 N-succinyl-(L-Ala)3-p-nitroanilide을 가하고, 37℃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 성량을 415㎚에서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 의 첨가구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9. 통계처리

모든 데이터는 최소 3 반복 수행하여 평균 ±표준편차로 나 타냈으며, 각 실험군의 통계처리는 Minitab (version17.2; Minitab Inc., State College, PA, USA)을 사용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 는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p < 0.05).


결과 및 고찰

1. 총 phenol성 화합물 및 flavonoid 함량

비타민나무 (Hippophae rhamnoides L.)열매와 잎으로 제조 한 4 종 sample의 총 phenol성 화합물 및 flavonoid 함량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열매와 잎의 혼합물인 MIX의 경우 225.7㎎·GAE/g으로 가장 높은 phenol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냈 으며, 그 다음으로 FW (14.08㎎·GAE/g) > BS (10.99㎎·GAE/ g) > FF (8.96㎎·GAE/g)의 순이었다. 총 flavonoid 함량도 총 phenol성 화합물과 같이 MIX (25.18㎎·QE/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FW (5.86㎎·QE/g) > BS (1.91㎎·QE/g) > FF (0.29㎎·QE/g)의 순이었다.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Yogendra 등 (2013)에 의하면 비타민나무 부위별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은 잎이 가장 많고, 열매와 과육이 그 다음을 차지한다고 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polyphenol 화합물인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건조된 잎 100 g당 310 - 2,100㎎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Barl et al., 2003).

Phenol성 화합물은 다른 화합물과 쉽게 결합하는 특성을 가 진 히드록시기 (–OH)를 포함하고 있어 항산화, 항암, 항콜레 스테롤 작용을 하며, 식이성 polyphenol 화합물을 많이 섭취하 는 경우 암, 심혈관 질환, 염증, 신경변성 질환 등 여러 질병 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Vauzour et al., 2010; Lee et al., 2017). 또한 체내조직을 보호하며 생리적 효율성을 높임으로 써, 식물에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uval and Shetty, 2001).

2. DPPH radical 소거능

DPPH는 전자 또는 수소를 받으면 radical이 소거되어, 517㎚ 부근에서 흡광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DPPH를 이용한 측정법은 항산화 작용기작과 연관성이 높고 항산화 활성을 빠 르게 측정할 수 있어, 식물추출물의 전자 공여능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Ahn et al., 2015).

비타민나무 열매와 잎으로 제조한 4 종 sample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Table 2에 나타냈다. MIX가 10.27㎍/㎖의 RC50 값으로 가장 높은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다 음으로 FW > FF > BS 순으로 소거활성이 감소했다. 이 결과 는 총 phenol성 화합물 및 flavonoid 함량과 유사한 것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폴리페놀의 함량과 상관관계가 있다 는 Dudonné 등 (2009)의 보고와 일치한다. 또한 Kumar 등 (2013)은 비타민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에서 총 phenol성 화합물함량이 높은 추출물일수록 DPPH radical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75% ethanol 추 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DPPH1)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3. 환원력

환원력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ferric-ferricyanide (Fe3+)를 ferrous (Fe2+)로 전환시키는 전자전달 능력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시료에 포함된 총 phenol성 화합물로부터 수소원 자를 공여 받음으로써 Fe3+의 감소가 일어나며, Fe3+에서 Fe2+ 로 환원시키는 강도가 클수록 발색의 정도가 증가하여 높은 흡광도 수치를 나타낸다. (Meir et al., 1995; Yildirim et al., 2001).

비타민나무 4 종 sample의 환원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 값이 증가하였다 (Fig. 1). 전체적으로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에 비해 낮은 환원력을 보였으나, 비타민나무 4 종 sample 중 잎과 열매의 혼합물인 MIX의 경우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고, FF는 흡광도 값을 얻을 수 없었다.

Fig. 1

Reducing power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by different concentrations.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4. Nitric oxide (NO) 생성율

MTT 를 이용하여 비타민나무 4 종 sample의 세포 생존율 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RAW264.7 cell에 500㎍/㎖의 농 도로 sample을 처리하였을 때, FW, FF, MIX 모두 99% 이 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나 BS의 경우 21% 의 생존율을 보였다 (Fig. 2). LPS로 유도된 RAW264.7 cell에서 NO 생 성 억제에 대한 결과는 Fig. 3에 나타냈다.

Fig. 2

Effects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on cell viability in RAW264.7 cells.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ig. 3

Effects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on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대식세포는 외부 병원체가 침입했을 경우, 백혈구보다 빠른 반응을 보임으로써 면역,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Kim et al., 2014). 대식세포인 RAW264.7 cell에 박테리아성 내독소 인 LP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였을 때, proinflammatory cytokine이 증가 하면서 NO, PGE2 등 염증 매개 물질의 분 비가 증가 한다 (Kamata et al., 2002).

이러한 염증 매개 물질들의 과도한 생성은 다양한 만성 염 증성질환의 발병에 원인이 되며, 특히 과도한 NO의 생성은 염증반응을 촉진하고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유도함으로써 세 포손상, 유전자변이를 일으키고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질환의 원인이 된다 (Hippeli and Elstner, 1999; Park and Yang, 2008). Fig. 4

Fig. 4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ctivity by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by different concentrations.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ig. 3에서와 같이 500㎍/㎖의 농도로 sample을 처리하였 을 경우, 모든 sample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F와 MIX의 경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 으나, 각각 25.26, 27.75%의 낮은 NO 생성율을 나타내며, RAW264.7 cell 내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BS의 경우 28.93%로 낮은 NO 생성율을 보였으 나 이는 세포 독성에서 기인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상 의 결과를 통해 LPS로 유도된 RAW264.7 cell에서 FF와 MIX가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천연소재로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Elastase 저해활성

Elastase는 동물결합 조직의 불용성 탄성 단백질 elastin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효소로 진피조직의 그물망 구조결합을 파괴하여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감소를 유발한다 (Yoo et al., 2010). 따라서 피부노화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 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de Witt et al., 1981; Um et al., 2017a).

비타민나무 4 종 sample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 과 모든 sample이 50, 100, 200, 500㎍/㎖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500㎍/㎖의 농도에서 FW가 43.69%의 억제율을 보이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FF가 22.31%로 가장 낮은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비타민나무 열매에는 수용성 vitamin인 vitamin C가 약 695㎎/100 g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Christaki, 2012), Yang 등 (2016)은 0.1㎎/㎖ 농도에서 vitamin C가 65.1%의 elastase 저해율을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즉, 수용성 열매 분말인 FW의 elastase 저해 활성은 vitamin C의 활성에 서 기인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Hippophae rhamnoides L.)를 이용한 화장품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열매와 잎을 이용한 4 종의 sample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NO 생성억제,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비타민나무열매와 잎을 이용한 4 종 sample의 총 phenol성 화합물과 총 flavonoid 함량은 MIX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도 MIX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환원력측정 결과 모든 sample 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MIX가 가장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총 phenol성 화합물 및 flavonoid 의 함량에서 기인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LPS로 유 도된 RAW264.7 cell에서 MIX와 FF가 500㎍/㎖의 농도에 서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의 결과로 볼 때, 비타민나무 잎과 열매 혼합물인 MIX는 항 산화 및 염증 조절하는 천연소재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BS의 경우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나 세포생존율이 감소하 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향후 연구를 진행할 때 세포독성을 나 타내지 않으며 NO 생성 억제효과를 보이는 적정농도의 선정 이 요구된다.

비타민나무 착즙액은 vitamins,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등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vitamin C와 carotenoids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Carotenoid 의 함량은 종자 (67.5㎎/100 g)에 비해, 과육 (350㎎/100 g)에 서 높게 나타나며, vitamin E의 경우 착즙액이 216 ㎎/100 g 으로 종자 (92.7㎎/100 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Zed, 2004). Chemat 등 (2012)은 착즙 부산물의 초음파추출물의 경 우 총 carotenoids 함량이 63.84㎎/ℓ, β-carotene의 함량이 18.06㎎/ℓ이라고 보고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sample이 농도가 증 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FW의 경우 가장 높은 elastase 억제활성을 나타내,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타민나무 기능성 소재를 대상으로 항 산화, 항염, 주름개선 효과의 관련기전의 연구를 진행한다면, 기 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의 2016년도 현장수요형 기술개발사 업(과제번호: S2421548)의 지원 및 2017년도 강원대학교 대학 회계 학술연구조성비(관리번호: 520170186)의 지원에 의해 이 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Ahn, H.Y., Choe, D.J., Kim, B.K., Lee, J.H., Cho, Y.S., (2015),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J. Life Sci, 25, p1014-1020. [https://doi.org/10.5352/jls.2015.25.9.1014]
  • Ann, G.W., Kang, T.W., Jeong, J.H., Jo, B.K., (2004),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0, p23-28.
  • Barl, B., Akhov, L., Dunlop, D., Jana, S., Schroeder, W.R., (2003), Flavonoid content and composition in leaves and berries of Sea buckthorn(Hippophae spp.) of different origin., Acta Hortic, (626), p397-405. [https://doi.org/10.17660/actahortic.2003.626.55]
  • Bat, S., Tannert, U., (1993), Sanddornole: Ein neues lipid fur die kosmetik., Seifen Öle Fette Wachse Journal, 119, p29-31.
  •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p1199-1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 Cannell, R.J.P., Kellam, S.J., Owsianka, A.M., Walker, J.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p10-14. [https://doi.org/10.1055/s-2006-962319]
  • Chemat, F., Issartier, S.P., Loucif, L., Elmaataoui, M., Mason, T.J., (2012), Enrichment of edible oil with Sea buckthorn byproducts using ultrasound assisted extraction., Eur. J. Lipid Sci. Technol, 114, p453-460. [https://doi.org/10.1002/ejlt.201100349]
  • Christaki, E., (2012), Hippophae rhamnoides L.(Sea buckthorn): A potential source of nutraceuticals., Food Public Health, 2, p69-72. [https://doi.org/10.5923/j.fph.20120203.02]
  • de Witt, D.L., Rollins, T.E., Day, J.S., Gauger, J.A., Smith, W.L.,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p10375-10382.
  • Dudonné, S., Vitrac, X., Coutière, P., Woillez, M., Mérillon, J.M., (2009),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ic. Food Chem, 57, p1768-1774.
  •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p361-377. [https://doi.org/10.1111/j.1745-4514.2001.tb00746.x]
  •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p131-138. [https://doi.org/10.1016/0003-2697(82)90118-x]
  • Han, C.K., Kim, S.S., Choi, S.Y., Park, J.H., Lee, B.H., (2009),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 p1336-1341. [https://doi.org/10.3746/jkfn.2009.38.10.1336]
  • Hippeli, S., Elstner, E.F., (1999), Inhibition of biochemical model reactions for inflammatory processes by plant extracts: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Free Radic. Res, 31, p81-87. [https://doi.org/10.1080/10715769900301361]
  • Imokawa, G., (2009), A possible mechanism underlying the ceramide deficiency in atopic dermatitis: Expression of a deacylase enzyme that cleaves the N-acyl linkage of sphingomyelin and glucosylceramide., J. Dermatol. Sci, 55, p1-9. [https://doi.org/10.1016/j.jdermsci.2009.04.006]
  • Jeong, H.J., Park, J.H., Kim, M.J., (2015), Ethanol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activation in 3T3-L1 preadipocyte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8, p582-590. [https://doi.org/10.7732/kjpr.2015.28.5.582]
  • Jung, E.J., Choe, J.B., (2014), Study on the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extract and curcumin as a cosmetic raw material.,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12, p425-433.
  • Kamata, H., Manabe, T., Kakuta, J., Oka, S., Hirata, H., (2002), Multiple redox regulation of the cellular signaling system linked to AP-1 and NF-I B: Effects of N-acetylcysteine and H2O2 on the receptor tyrosine kinases, the MAP kinase cascade, and II B kinases., Ann. N. Y. Acad. Sci, 973, p419-422.
  • Kim, B.W., Kim, J.I., Kim, H.R., Byun, D.S., (2014), Antiinflammatory effect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Myagropsis yendoi on lipopolysaccharides-stimulated RAW264.7 cells.,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7, p527-536. [https://doi.org/10.5657/kfas.2014.0527]
  • Kim, J.S., Yu, C.Y., Kim, M.J., (2010), Phamalogical effect and component of Sea buckthorn(Hippophae rhamnoides L.)., J. Plant Biotechnol, 37, p47-56. [https://doi.org/10.5010/jpb.2010.37.1.047]
  • Ko, H.M., Eom, T.K., Song, S.K., Jo, G.Y., Kim, J.S., (2017),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 of Hypochaeris radicat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5, p139-145. [https://doi.org/10.7783/kjmcs.2017.25.3.139]
  • Kumar, S.A., Paul, A.D., Tanveer, N., (2013), Bioactivity guided extraction of Sea buckthorn(Hippophae rhamnoides L. ssp. turkestanica) leaves., J. Sci. Ind. Res. (India), 72, p307-311.
  • Lee, Y.M., Kim, I.S., Ghosh, M., Hong, S.M., Lee, T.H., Lee, D.H., Lim, B.O., (2017), Antioxidant activity and NO inhibitory effect of bioconverted medicinal material using germinated green rice and Hericium erinaceus mycelium.,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5, p305-314.
  • Maheshwari, D.T., Kumar, M.S., Verma, S.K., Singh, V.K., Singh, S.N., (2011),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phenolic rich fraction of Sea buckthorn(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Food Chem. Toxicol, 49, p2422-2428. [https://doi.org/10.1016/j.fct.2011.06.061]
  • Meir, S., Kanner, J., Akiri, B., Hadas, S.P.,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reducing compounds in oxidative defense systems of vari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p1813-1819. [https://doi.org/10.1021/jf00055a012]
  •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e., J. Ethnopharmacol, 71, p109-114. [https://doi.org/10.1016/s0378-8741(99)00189-0]
  •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p55-63. [https://doi.org/10.1016/0022-1759(83)90303-4]
  •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The Japanese Journal of Nutrition and Dietetics, 44, p307-315. [https://doi.org/10.5264/eiyogakuzashi.44.307]
  • Park, E.Y., Yang, K.S., (2008),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by the extracts of Hibiscus manihot., Yakhak Hoeji, 52, p259-263.
  • Rahimuddin, S.A., Khoja, S.M., Zuhair, M.M., Howell, N.K., Brown, J.E., (2007),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UVAtreated skin fibroblasts by luteolin and its glucosides., Eur. J. Lipid Sci. Technol, 109, p647-655. [https://doi.org/10.1002/ejlt.200700012]
  • Rahman, I., Biswas, S.K., Kirkham, P.A., (2006), Regulation of inflammation and redox signaling by dietary polyphenols., Biochem. Pharmacol, 72, p1439-1452. [https://doi.org/10.1016/j.bcp.2006.07.004]
  •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p144-158.
  • Um, J.N., Min, J.W., Joo, K.S., Kang, H.C., (2017), Antioxidant, anti-wrinkl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mixture extracts of Angelica gigas, Paeonia Lactiflora, Rehmannia chinensis and Cnidium officinal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a 25, p152-159. [https://doi.org/10.7783/kjmcs.2017.25.3.152]
  • Um, J.N., Min, J.W., Joo, K.S., Kang, H.C., (2017), Nitric oxide production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 and its fraction from phellodendri cortex.,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b 25, p22-28. [https://doi.org/10.7783/kjmcs.2017.25.1.22]
  • Upadhyay, N.K., Kumar, R., Mandotra, S.K., Meena, R.N., Siddiqui, M.S., Sawheny, R.C., Gupta, A., (2009), Safety and healing efficacy of Sea buckthorn(Hippophae rhamnoides L.) seed oil on burn wounds in rats., Food Chem. Toxicol, 47, p1146-1153. [https://doi.org/10.1016/j.fct.2009.02.002]
  • Upadhyay, NK, Kumar, R, Siddiqui, MS, Gupta, A, (2011), Mechanism of wound-healing activity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f extract in experimental burn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659705..
  • Vauzour, D., Rodriguez-Mateos, A., Corona, G., Oruna-Concha, M.J., Spencer, J.P.E., (2010), Polyphenols and human health: Prevention of disease and mechanisms of action., Nutrients, 2, p1106-1131. [https://doi.org/10.3390/nu2111106]
  • Wani, T.A., Wani, S.M., Shah, A.G., Masoodi, F.A., (2013), Optimizing conditions for antioxidant extraction from Sea buckthorn leaf(Hippophae rhamnoides L.) as herbal t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Int. Food Res. J, 20, p1677-1681.
  • Yang, B., Kallio, H.P., (2001),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in Sea buckthorn(Hippophae rhamnoides L.) berries of different origins., J. Agric. Food Chem, 49, p1939-1947.
  • Yang, W.T., Kim, K.S., Kwon, Y.S., Kim, D.H., Kim, D.H., (2016),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of Cistanche deserticola extract., J. Plant Biotechnol, 43, p492-499.
  • Yang, Z.G., Wen, X.F., Li, Y.H., Matsuzaki, K., Kitanaka, S., (2013), Inhibitory effects of the constituents of Hippophae rhamnoides on 3T3-L1 cell differenti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cells., Chem. Pharm. Bull. (Tokyo), 61, p279-285. [https://doi.org/10.1248/cpb.c12-00835]
  • Yildirim, A., Mavi, A., Kara, A.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 p4083-4089.
  • Yogendra Kumar, M.S., Tirpude, R.J., Maheshwari, D.T., Bansal, A., Misra, K., (2013),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of phenolic rich fraction Sea buckthorn(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in vitro., Food Chem, 141, p3443-3450.
  • Yoo, J.M., Kang, Y.J., Pyo, H.B., Choung, E.S., Park, S.Y., Choi, J.H., Han, G.J., Lee, C.H., Kim, T.J., (2010),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rice wine cake on human fibroblast., J. Life Sci, 20, p1838-1843. [https://doi.org/10.5352/jls.2010.20.12.1838]
  • Zed, A., (2004), Chemical and nutritional constituents of Sea buckthorn juice., Pak. J. Nutr, 3, p99-106.

Fig. 1

Fig. 1
Reducing power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by different concentrations.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ig. 2

Fig. 2
Effects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on cell viability in RAW264.7 cells.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ig. 3

Fig. 3
Effects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on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ig. 4

Fig. 4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ctivity by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by different concentrations.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Table 1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Samples Total phenol (㎎·GAE/g)1) Total flavonoid (㎎·QE/g)2)

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GAE/g; ㎎·gallic acid equivalent per sample 1 g
㎎·QE/g; ㎎·quercetin equivalent per sample 1 g.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W 14.08±0.87b* 5.86±0.89b
FF 8.96±1.47c 0.29±0.05b
BS 10.99±1.57bc 1.91±0.27b
MIX 225.70±0.73a 25.18±4.55a

Table 2

DPPH1)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ippophae rhamnoides.

Samples RC502) (㎍/㎖)

FW; water-soluble fruit powder, FF; fat-soluble fruit powder, BS; byproduct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MIX; mixture of leaves and fruit.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C50;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at 30 min after starting the reaction.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ukey’s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HSD), and differences were assessed to be significant at 5% level of probability (p < 0.05).
FW 743.10±73.86b*
FF 999.12±92.42c
BS 1105.97±10.80c
MIX 10.27±0.21a
Ascorbic acid 2.91±0.33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