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ARTICL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 22, No. 3, pp.217-222
ISSN: 1225-9306 (Print) 2288-018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014
Received 20 Mar 2014 Revised 4 Apr 2014 Reviewed 12 May 2014 Reviewed 27 May 2014 Accepted 27 May 2014
DOI: https://doi.org/10.7783/KJMCS.2014.22.3.217

추출방법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능 비교

김남영* ; 김정환** ; 최근표*** ; 이현용****,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강원도립대학 식품가공 제과제빵과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Comparison of 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Nam Young Kim* ; Jeung Hoan Kim** ; Geun Pyo Choi*** ; Hyeon Yong Lee****,
*Department of Medical Biomaterial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Department of Herbal Cosmetic Science, Hoseo University, Asan 336-795, Korea.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and Bakery, Gangwon Provincial Collage, Gangneung 210-804, Korea.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Seowon University, Cheongju 361-74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43-299-8471 (E-mail) hyeonl@seowon.ac.kr

©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skin wrinkle effect of aronia extracts by extraction processes. The 70% ethanol extract by ultrasonification process (UEE) showed highest DPPH scavenging activity of 90.4% in order water extract (WE), 70% ethanol extract (EE) was measured 84.2%, 84.3%. collagen production measured 245 ng/ml from UEE. WE was measured 53.5 ng/ml and EE was measured 224.4 ng/ml. MMP-1 production was observed lowest 22.5 pg/ml at UEE. MMP-1 production of EE was 34.6 pg/ml and WE was 102.3 pg/ml. These results were found the highest antioxidant and anti-wrinkle effect at UEE among three process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the aronia extract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due to high amounts of antocyanins in the extract.

Keywords:

Antioxidant, Anti-Skin Wrinkle Effect, Aronia melanocarpa, Collagen, MMP-1, Ultrasonification

서 언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에 노화가 찾아온다. 하지만 그 외에 외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되는 경우가 있다. 주로 태양광에 의해 피부가 자외선에 과량 노출이 되면서 기 미나 주근깨가 생기는 것은 물론 피부에 탄력이 감소하여 주 름이 증가하는 등 급격한 노화가 오는데 여기에는 활성산소가 큰 영향을 미친다 (Cho et al., 2011). 피부에 자외선을 받게 되면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collagen 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주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ang et al., 2013). Collagen의 경우 피부조직의 유연 성과 신축성을 유지하며, 외적인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보았을 때 collagen 단백질의 저해는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증가에 큰 영향을 끼친다 (Davies et al., 1987; Fantone and Ward, 1982). 또한 활성산소로 인 한 피부노화는 collagen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탄력을 잃게 한다 (Park et al., 2010; Pentland et al., 1995). 이와 관련하여 주름개선에는 항산화능이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에 착안하여, 항산화능이 뛰어난 것으로 잘 알려진 아로니아 추 출물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로니아 (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에 속하는 베리류 로 북아메리카가 주 원산지 이다 (Wu et al., 2004). 아로니 아는 항산화활성이 뛰어나다고 잘 알려진 안토시아닌의 함량 이 우수한 대표적인 물질이며, 안토시아닌 함량은 1 g 당 7 ± 1mg 함유하고 있다 (Jeppsson and Johansson, 2000). 그 밖에도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우수하여 (Slimestad et al., 2005; Jakobek et al., 2012) 항산화 및 항암, 심혈관계 질환, 항염증, 면역효능, 항 당뇨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아로니아는 항산화능이 뛰어나 주름개선에 효능 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진은 아로니아가 가지는 높 은 항산화능에 의한 주름개선효능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기 위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아로니아 추출물의 주름개선을 평 가 함에 있어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초음파 공정을 거친 에탄올 추출물 총 세가지의 추출방법을 비교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열수 추출과 에탄올 추출은 고온에서 추출을 진행하 므로, 아로니아의 활성물질이 온도의 영향으로 인하여 변성 될 가능성이 있다 (Park et al., 2004). 위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초음파 추출을 병행하였으며, 고온의 공정은 성분물질 의 파괴 혹은 손실 등 열에 민감하나 초음파를 통한 공정은 보다 낮은 저온으로 추출을 진행함으로서 유효성분 물질을 보 호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oma et al., 2001; Vinatoru, 2001). 또한, 안토시아닌이 함량 된 라즈베리 추출물에 초음파 처리를 하여 안토시아닌의 양 및 항산화 효능의 증진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아로니아에도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풍 부하여, 초음파로 인하여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능 증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 된다. (Amir et al., 2013).

이와 같은 근거에 초점을 두어 본 연구에서 아로니아의 주 름개선 효능을 평가하였으며,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초 음파 공정을 거친 에탄올 추출물 총 세 가지 공정에 관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시료 제조

추출에 사용 된 아로니아 열매는 2013년도 산 충북 단양군 농업기술센터부터 지원받아 사용하였다. 아로니아 시료의 추 출은 수직 환류냉각기가 설치되어있는 flask에, 열수추출의 경 우 1ℓ의 증류수에 아로니아 열매를 100 g을 사용하여 100°C 에서 24시간 추출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같은 조건에서 용 매를 70% 에탄올로 하여 60°C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초음파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시료에서 초음파 추 출기 (AUG-R3-900, ASIA ULTRASONIC, Korea)를 통하여, 120 kHz의 초음파에서 30분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 한 모든 아로니아 시료는 감압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 후 에 회전식 감압농축기 (EYELA N-1000, Tokyo Rikakikai Co.,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 (PVTFA 10AT, ILSIN, Korea)에 72시간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실험을 진 행하였다.

2. 세포 및 시약

HDF (Human dermal fibroblasts)는 CCD-986sk으로 한국 세포주은행 (KCLB, Seoul, Korea)에서 동결 된 것으로 구입 하였다. 구입한 CCD-986sk은 DMEM 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 (Gibco, Carlsbad, CA, USA)을 첨가하여 37°C,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그 외 사용된 모든 시약들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통하여 구입, 사용하였다.

3.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자유 라디칼 소거활 성은 Dietz (Dietz et al., 2005)의 방법을 사용하되 실험방법 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용매를 methanol로 제조한 0.1 mM DPPH용액 150µl을 첨가 후 각 공정 별 0.2, 0.4, 0.6, 0.8, 1.0mg/ml 농도의 아로니아 시료 150µl을 혼합하여 25°C에서 30분 동안 암실에 방치 한 후 517nm의 파장에서 흡광도 측 정하였다. 측정한 값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로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ntrolO.D.-samplecontrolO.D×100

4. MTT 용액을 이용한 세포 독성평가

MTT용액은 3-(4,5-dimethy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Aldrich, USA) 시약을 사용하였다. 독성 평가에는 HDF세포인 CCD-986sk를 사용하였으며, 세포를 3.0 × 106 cells/well 농도로 96-well plate에 주입한 뒤 24시간 동안 세포를 부착하였다. 24시간 뒤 배지를 제거하고 아로니 아 시료를 농도별로 200µl만큼 투여하고 CO2 배양기에서 다 시 한 번 24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24시간이 지난 다음 시 료를 제거하고, 200µg/ml 농도의 MTT 용액을 각 well에 첨 가하고 37°C의 암실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후 PBS buffer로 2회 세척하고, DMSO를 well에 200µl 주입한 뒤 microplate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로 57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 (%)으로 나타내었다.

5. Human Dermal Fibroblast (HDF)를 이용한 Collagen 생성능 실험

HDF세포는 CCD-986sk를 이용하였으며, collagen 생성능 측 정은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IA Kit (Takara, Otsu, Japan) 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키트에 준비 된 plate에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을 100µl 넣고, 아로니아 샘플을 농도별로 20µl를 첨가한다. 첨가한 후 plate에 빛을 차단하기 위해 호일로 감싼 뒤 37°C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한다. 3시간이 지나면 배양액을 제거한 뒤, washing buffer를 400 µl를 주입하여 총 4회 세척한다. 세척 이 끝나면 substrate solution을 각 well에 넣고 20 ~ 30°C에서 15분간 다시 배양한다. 배양이 끝나면 stop solution인 1 N H2SO4을 100µl넣고, plate를 흔들어준 뒤 microplate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 정하였으며, standard solution을 사용한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6. MMP-1 생성 실험

MMP-1 생성 실험은 Human MMP-1 ELISA Kit (Ray Biotech, Norcross, USA)를 사용하였다. 사용 전 모든 시약 및 샘플을 18 ~ 25°C로 맞춰놓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키트에 준비 된 plate에 샘플과 standard를 100µl 만큼 각 well에 주입 한 뒤 커버를 덮고 상온에서 2시간 30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배양액을 버리고 wash buffer로 4회 반복하여 세척한 후 Detection Antibody MMP-1을 100µl 만큼 각 well에 주 입하고 한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한다. 배양이 끝나면 다시 배양액을 버리고 4회 세척한 뒤 Streptavidin solution을 넣고 45분동안 상온에서 shaking해준다. 그 뒤에 마찬가지로 배양액 을 제거하고 세척하고 substrate reagent를 주입한 후 30분동 안 암실에서 온도는 상온에서 배양한다. 배양이 끝나면 마지 막으로 stop solution을 50µl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즉시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7. 통계처리

모든 실험의 데이터 통계처리는 3회 반복하였으며, 실험값 의 통계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을 통 하여 two-way ANOVA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처리구간의 최 소 유의 수준의 차는 p < 0.05로 처리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자 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Table 1에 측정 된 결과를 표시하였다. DPPH는 517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고, 환 원을 하게 되면 517nm에서 흡광도가 감소한다.

아로니아 시료와 대표적인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ascorbic acid을 비교해 보았을 때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는 0.2mg/ml의 농도에서 88.2%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보 였으며, 아로니아 시료 1.0mg/m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 (WE)의 경우 84.2%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70% 에탄올 추출물 (EE)은 84.3%로 WE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 었다.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인 초음파 공정을 거친 에탄올 추출물 (UEE)의 경우에는 90.4%로 기타 다른 추출법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농도차가 있긴 하나,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도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농도가 증 가함에 따라 DPPH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았을 때, 아로니아 시료들은 전반적으로 항산화능이 높았으 며 그 중에서도 초음파공정을 거친 아로니아 시료가 활성이 가장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능이 높으면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피부의 항 주름의 효능을 확인 한 선행연구를 바탕 으로 하여 (Jang et al., 2013), 아로니아 시료를 이용하여, 피 부의 탄력을 유지시켜주는 단백질인 collagen 생성능에 대한 실험으로 주름개선효능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2. MTT용액을 이용한 세포 독성평가

주름개선 활성 평가를 하기 전 실험으로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를 이용 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그 결 과 아로니아 시료 중 독성이 가장 높은 추출물은 초음파 공정 을 이용한 아로니아 추출물로 독성이 14.62% 인 것으로 측정 되었다. 이 측정 된 결과 값은 앞으로의 세포실험을 진행하는 데 있어 아로니아 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이 실험에 큰 영향을 끼칠 만큼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향장연구에 관련 된 다른 천연물인 더덕추출물에 대한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10 ~ 20%의 세포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때 (Kim et al., 2013),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은 높지 않았다. 이를 이용하여 HDF (Human Dermal Fibroblasts)인 CCD-986sk를 통해 피 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collagen 단백질 및 collagen 단백질을 저해하여 피부의 주름증가에 원인이 되는 효소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량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여 아로니아 시료에 대한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여 각 추출별로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3. Collagen 생성능 실험

아로니아 시료의 주름개선에 대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collagen 생성능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Fig. 2에 나타내 었다. 그 결과, 각각의 모든 시료는 5가지의 농도차에 따라 전 부 유의차를 보이며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량이 증가하는 양상 을 보였고, 아로니아 시료의 가장 높은 농도인 1.0mg/ml의 농 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53.5 ng/ml의 collagen이 생성되었으며, 70% 에탄올 초음파의 collagen 생성량은 224.4 ng/ml, 초음파 공정을 이용한 에탄올 초음파는 245 ng/ml로 다른 아로니아 시료들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열 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초음파 공정을 거친 에탄올 추출물 서로간의 충분한 유의차를 보였다. 주름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 된 포도와 오이즙액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동충하초 균사체의 경우 150 ~ 200 ng/ml의 collagen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아로니아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Lee et al., 2006), 또한 같은 용매의 추출물이더라도 초음파 공정을 이용하였을 때 아로니 아 시료의 주름개선 효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서 실험한 항산화능을 알아보는 DPPH 실험과 비교하였을 때, 초음파 공정을 거친 시료가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것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확인하 였을 때 항산화능이 높을수록 주름개선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초음파 공정을 거친 아로니아 시료가 가장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또 다른 주름 개선효능을 알 수 있는 실험으로 collagen 생성을 저해하는 효 소인 MMP-1의 생성 실험을 통하여 주름개선효능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4.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생성 실험

MMP-1은 피부에 탄력을 주는 단백질인 collagen을 분해하 는 효소로 MMP-1의 생성량이 낮을수록 주름개선에 대한 효 능이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MMP-1의 생성량을 확인 한 실험의 결과는 Fig. 3에 표시하였다. 모든 샘플이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MP-1의 생성량이 감소하 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아로니아 시료의 가장 높은 농도인 1.0mg/ml 에서 아로니아 열수 추출물은 102.3 pg/ml의 생성량 을 확인하였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은 34.6 pg/ml의 생성량 으로 열수 추출물의 MMP-1 생성량 보다도 큰 유의적인 차 이를 보였다. 초음파 공정을 거친 70% 에탄올 추출물은 22.5 pg/ml로 가장 낮은 MMP-1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MMP-1의 생성량이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초음파 공정 을 거친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며, 주름개선에는 역순으로 효능이 뛰어남을 확 인하였다. 주름개선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황철나무, 산수 유, 구기자의 초임계 추출물의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Shin et al., 2013), 황철나무와 산수유, 구기자 초임계 추출물은 농도 가 10배 낮은 0.1 mg/ml에서 20 ~ 35 ng/ml의 MMP-1의 생성 량이 측정되었다. 아로니아 추출물의 농도가 10배가 더 높긴 하나 MMP-1의 생성량이 1000배 이상 낮은 것으로 보아 아 로니아 추출물이 MMP-1의 생성량 저해에 활성이 더 좋은 것 을 알 수 있었으며, 주름개선에 뛰어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ollagen 생성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항산화능 이 뛰어날 수록 MMP-1에 대한 저해활성도 좋은 것으로 판단 되었으며, 초음파 공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여타 공정법들보다 활성이 가장 뛰어나, 주름개선효능에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언급한대로 활성산소는 피부탄력을 유지하는 collagen 단백질의 생성을 저해하여 탄력을 저하시켜 피부주름증가에 큰 원인이 된다. 또한 자외선에 영향을 받은 피부에서 활성산 소에 의해 collagen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을 분 비함으로서, 피부의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 로니아 추출물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인 항산화능을 평 가하여, 이를 근거로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아로니아 속에 항산화능이 뛰어나다고 잘 알려진 안 토시아닌류 성분들이 주름개선효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 으로 사료되며, 시료들 중에서도 초음파 공정을 통한 아로니 아 추출물의 효능이 여타 공정 법들 보다도 큰 효능을 보였다. 아로니아 속 성분물질인 안토시아닌 및 기타 활성물질이 저온 을 통한 초음파 공정으로 인하여, 다른 공정 법보다 활성물질 의 변성 및 파괴가 적어 성분물질의 보존 및 용출이 잘 되어 뛰어난 효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초음파 공정을 거친 아로니아 시료의 주름개선효능의 증진을 확인하 였으며, 아로니아의 향장소재로서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REFERENCES

  • Amir, G, Gregory, M, Joseph, P, Caleb, N, Effect of ultrasound frequency o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and anthocyanin content of red raspberry puree, Ultrasonics Sonochemistry, (2013), 20, p1316-1323. [https://doi.org/10.1016/j.ultsonch.2013.01.020]
  • Cho, EA, Cho, EH, Choi, SJ, Park, KH, Kim, SY, Jeong, YJ, Ku, CS, Ha, BJ, Jang, DI, Chae, HJ, Screening of anti-wrinkle resource from herbal medicinal extracts and stability test of its cosmetic produ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1), 19, p126-135. [https://doi.org/10.7783/kjmcs.2011.19.2.126]
  • Davies, KJA, Lin, SW, Pacifici, RE,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87), 262, p9914-9920.
  • Dietz, BM, Kang, YH, Liu, G, Eggler, AL, Yao, P, Chadwick, LR, Pauli, GF, Farnsworth, NR, Mesecar, AD, van Breemen, RB, Xanthohumol isolated fromHumulus lupulusinhibits menadione-induced DNA damage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2005), 18, p1296-1305. [https://doi.org/10.1021/tx050058x]
  • Fantone, JC, Ward, PA,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982), 107, p395-418.
  • Hwang, SY, Lee, JT, Kim, YU, Kim, HJ, Skin whitening effects of extracts fromAngelicae gigantisRadix andLycii fructusethanol extracts,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13), 21, p91-98.
  • Jang, MJ, Jun, DH, Kim, SH, Han, SI, Lee, JT,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Journal of Life Science, (2013), 23, p751-756. [https://doi.org/10.5352/jls.2013.23.6.751]
  • Jakobek, L, Drenjan evi, M, Juki, V, Šeruga, M, Phenolic acids, flavonol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entia Horticulturae, (2012), 147, p56-63. [https://doi.org/10.1016/j.scienta.2012.09.006]
  • Jeppsson, N, Johansson, R, Changes in fruit quality in black chokeberry(Aronia melanocarpa) during maturatio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2000), 75, p340-345. [https://doi.org/10.1080/14620316.2000.11511247]
  • Kim, JS, Choi, WS, Chung, JY, Chung, HC, Lee, HY, Enhancement of cosmeceutical activity fromCodonopsis lanceolataextracts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 21, p204-212. [https://doi.org/10.7783/kjmcs.2013.21.3.204]
  • Lee, YH, Park, KH, Choi, YJ, Gal, SW, Anti-wrinkle effect of mycelial culture broth ofPaecilomyces japonicain the mixture of cucumber and grape extracts, Journal of Life Science, (2006), 16, p516-521.
  • Mauviel, A, Halcin, C, Vasiloudes, P, Parks, WC, Kurkinen, M, Uitto, J, Uncoordinate regulation of collagenase, stromelysin,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genes by prostaglandin E2: Selective enhancement of collagenase gen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in culture,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1994), 54, p465-472. [https://doi.org/10.1002/jcb.240540413]
  • Park, JH, Lee, HS, Mun, HC, Kim, DH, Seong, NS, Jung, HG, Bang, JK, Lee, HY,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Acanthopanax senticosusHarms,Ephedra sinicaStapf,Rubus coreanus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4), 12, p273-278.
  • Park, SH, Lee, KH, Han, CS, Kim, KH, Kim, YH, Inhibitory effects ofCarex humilis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2010), 36, p129-136.
  • Pentland, AP, Shapiro, SD, Welgus, HG, Agonist-indu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and metalloproteinases by human macrophages is regulated by endogenous prostaglandin E2synthesis,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95), 104, p52-57. [https://doi.org/10.1111/1523-1747.ep12613488]
  • Shin, DC, Kim, GC, Song, SY, Kim, HJ, Yang, JC, Kim, BA,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complex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andLycii fructu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3), 28, p95-100.
  • Slimestad, R, Torskangerpoll, K, Nateland, HS, Johannessen, T, Giske, NH,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Aronia melanocarpa,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005), 18, p61-68. [https://doi.org/10.1016/j.jfca.2003.12.003]
  • Toma, M, Vinatoru, M, Paniwnyk, L, Mason, TJ,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ultrasound on vegetal tissues during solvent extraction, Ultrasonics Sonochemistry, (2001), 8, p137-142. [https://doi.org/10.1016/s1350-4177(00)00033-x]
  • Vinatoru, M, An overview of the ultrasonically assisted extraction of bioactive principles from herbs, Ultrasonics Sonochemistry, (2001), 8, p303-313. [https://doi.org/10.1016/s1350-4177(01)00071-2]
  • Wu, X, Gu, L, Prior, RL, McKay, S,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Ribes, Aronia,andSambucus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4), 52, p7846-7856. [https://doi.org/10.1021/jf0486850]

Fig. 1.

Fig. 1.
Cell cytotoxicity of theAronia melanocarpa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Mean value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C)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e)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E;Aronia melanocarpawater extracts, EE;Aronia melanocarpa70% ethanol extracts, UEE;Aronia melanocarpaultrasonification and 70% ethanol extracts.

Fig. 2.

Fig. 2.
Collagen production of theAronia melanocarpa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Mean value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E)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c)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E;Aronia melanocarpawater extracts, EE;Aronia melanocarpa70% ethanol extracts, UEE;Aronia melanocarpaultrasonification and 70% ethanol extracts.

Fig. 3.

Fig. 3.
MMP-1 production (pg/ml) of theAronia melanocarpa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Mean value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E)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c)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E;Aronia melanocarpawater extracts, EE;Aronia melanocarpa70% ethanol extracts UEE;Aronia melanocarpaultrasonification and 70% ethanol extracts.

Table 1.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ronia melanocarpa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Sample Concentration (mg/ml)

0.2 0.4 0.6 0.8 1.0

Mean value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C) within same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and mean with difference letter (a-b) within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p< 0.05. WE;Aronia melanocarpawater extracts, EE;Aronia melanocarpa70% ethanol extracts, UEE; Aronia melanocarpa ultrasonification and 70% ethanol extracts.
WE 76.7 ± 1.2Aa 78.5 ± 0.8Aa 80.0 ± 0.6Ba 81.3 ± 1.0Ba 84.2 ± 0.9Ca*
EE 78.3 ± 0.7Aa 79.1 ± 0.9Aa 83.5 ± 0.4Ba 83.9 ± 0.8Ba 84.3 ± 0.6Ba
UEE 78.6 ± 0.9Aa 80.7 ± 1.0Aa 84.6 ± 0.7Bb 86.9 ± 1.1Bb 90.4 ± 0.7Cb
Ascorbic acid (0.02 mg/ml) 88.2 ± 2.3